About us      I       Editions       I      Interview  
︎ Prev       Index︎       Next ︎
Het : view
01.

Kelly Jang  I 켈리장



    When we first started Het Ma:dang editions, we hoped to include all sorts of works, such as writing, photography, video, and painting. However, due to the short preparation period for the monthly edition, we could only look for finished works that fit into the theme and focused on media art as it would be published online. Meanwhile, an artist reached out and offered to create a new work for our edition. At first, we couldn’t believe that she would create a new piece of work in 2 or 3 weeks, even more so that it would be a physical painting on canvas. When we received the final work with great excitement, there was a very poetic, intriguing painting on the photograph she had sent us. It was a painting with feelings of loneliness and nostalgia, but yet somehow strong underneath. Perhaps it’s our first impression of her that led us to invite Kelly Jang for our very first in-depth interview.


        처음 햇-마:당 에디션을 시작하며, 글뿐만 아니라 사진, 영상, 회화 등 다양한 형식의 작품을 선보이고 싶다는 소망을 했었다. 하지만 매달 새 에디션을 준비하기엔 시간적 제약이 있다 보니 선정된 주제에 맞는 기존 작품을 주로 싣게 되었고, 온라인 플랫폼의 특성상 주로 미디어 작품 또는 사진 작품을 주로 찾게 되었다. 그러던 중 햇-마:당 에디션을 위해 새로운 작품을 준비해 주시겠다는 예술가분이 있으셨다. 게다가 물리적 형태가 있는, 캔버스 위에 그려진 작품을 주시겠다는 말에, 과연 2~3주 남짓한 그 시간에 이게 과연 가능할까 믿어지지 않을 정도였다.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최종본을 받아보았을 때, 보내주신 사진 속에는 매우 시적이고 많은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이 들어있었다. 왠지 쓸쓸하고 그리운, 그러면서 왠지 모를 힘도 느껴지는 작품이었다. 그때의 그 인상이 강렬해서였을까, 햇-마:당의 첫 인터뷰로 Kelly Jang 작가를 만나보기로 하였다.





1. Could you introduce yourself?
   간단한 본인 소개 부탁드립니다.


︎︎︎ Hello. I'm Kelly Jang. I'm currently living in the Netherlands, working on my artwork and writing. I've also been teaching Korean painting at a culture centre since last year.

︎︎︎ 안녕하세요, Kelly Jang 입니다. 네덜란드에 머물면서 작품 작업과 글을 쓰고 있고, 작년부터 문화센터에서 한국화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2. Could you tell us about your studio?
    작가님은 주로 어디서 작업하시나요?


︎︎︎ When I first arrived in the Netherlands, I stayed at an artist residency for 3 months. After that, I went to Berlin and worked in a residency there. Thanks to the people I got to know during that residency, I could work simultaneously in Germany and the Netherlands. I've been switching between the studio in Germany and the Netherlands every 3 to 5 months. Since 2019, I have completely settled in the Netherlands. Although it wasn't according to the plan and partly blamed on Covid, I didn't have a separate studio for a while, and I had to work in my apartment. It wasn't a very comfortable situation to work in, but I was thankful that I had at least some space on my own. I’ve been searching, and at last, I got a new studio in Amsterdam just a while ago. Soon it will become the place for the Korean painting studio (Studio K&Y).
 
︎︎︎ 처음 네덜란드에 왔을 때 아티스트 레지던스에 3개월 있다가 그 후 다시 독일 베를린의 레지던스에서 작업을 했었어요. 그때 알게 된 분들의 도움으로 네덜란드로 돌아온 이후에도 계속 독일을 왕래하며 작업할 수 있었습니다. 매년 3~5개월 정도는 독일의 작업실에서 보내다가, 2019년부터는 네덜란드로 완전히 와서 작업하게 되었어요. 어쩌다 보니 팬데믹 상황에 맞물려 한동안 머물고 있던 아파트에서 작업하곤 했어요. 마음 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나의 공간이 있다는 사실에 어느 정도 만족하고 지내던 중, 얼마 전에 드디어 암스테르담에 작업실을 구했답니다. 이제 새 작업실에서 작업도 하고 한국화 스튜디오(Studio K&Y)도 그곳에 오픈할 예정이에요.

독일의 작업실 


현재 네덜란드에 있는 Kelly Jang의 작업공간



3. We noticed that you use images of plants a lot, such as trees and flowers, and express them in still-life.
    작가님의 작업물을 보면 자연물, 특히 나무나 꽃과 같은 식물의 이미지가 매우 정적으로 표현되던데, 이 부분에 관해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 That's probably to do with my background in Korean painting since the image of nature is the most common source and theme in Korean painting. Among many different realms in Korean painting, my passion went to landscape painting, such as making sketches of mountains. There is a unique perspective representation that only exists in Korean painting, called the three perspective technique. First, you make sketches from the foot of the mountain looking upwards, next one at somewhere in the middle, and later at the top. I’ve learnt this during my bachelor studies, which made me able to bring the whole mountain in one scene. I was mesmerised by revisiting the mountain and visualising your own memory and trajectory in one canvas while transiting sketches. While I was in Korea, I tried to modernise traditional Korean landscape painting in my own style. I also tried to express the concept of “time in paradise,” which was my thesis subject, as landscape paintings. When I learnt about the concept of Vanitas and still-life in Flemish art after moving to the Netherlands, I liked the idea of captivating the temporality of a constantly changing object and the concept of giving a message to the audience very much. I wanted to bring this back into my work. Expressing natural objects in still-life might reflect these intentions, too. Through my work, I tried to combine both ideas of Vanitas and oriental concepts such as Vanitas's idea of "Memento mori - remember death" and the concept of "frozen time,"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paradise. Also, the message "something that surrounds you but is not recognised can only be seen from afar" is conveyed in most of my work in the form of still-life.

︎︎︎ 제 전공이 한국화이다 보니 자연이 저에겐 가장 익숙한 소재이자 주제입니다. 한국화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저는 주로 산에서 스케치하고 그 스케치를 커다란 화면에 옮기는 방식의 산수화를 좋아했습니다. 학부 과정 중에 산 전체를 스케치하는 방법을 배웠는데, 산 아래에서 올려다보면서 한 번, 산 중간에서 다시, 그리고 꼭대기에서 다시 스케치하는 방식이었어요. 바로 한국화의 특별한 원근법인 삼원법을 통해 산을 스케치한 후 하나의 화면에 다시 전체의 산을 담을 수 있어요. 그렇게 옮겨 담는 과정에서 화가의 걸음과 기억이 큰 화면에서 재현되는 점에 매료되었습니다. 그래서 한국에 있을 땐 산수화를 나만의 스타일로, 현대적으로 그리는 여러 시도를 했고, 논문에서 다룬 ‘낙원의 시간'이라는 주제를 풍경화에 결합해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그러다 네덜란드에 온 후, 플랑드르 미술의 바니타스의 개념과 정물화를 접한 후 변해가는 정물을 시간성(temporarily) 속에 가두고 또 일종의 메시지를 관객에게 던지는 개념을 제 작업에 가져오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자연물을 정물화로 표현함으로써 바니타스의 ‘메멘토 모리_죽음을 기억하라’라는 메시지와 동양의 낙원의 특징인 ‘멈춘 시간’, 그리고 ‘우리를 둘러싼, 인식하지 못하는 ‘무언가’는 멀리서 보았을 때 비로소 보인다’라는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Still, Still-life 2015>



4. We also noticed that you use texts or printed matters often in your recent work. Such as the recent work you share on your Instagram or "The other-land," which you've shared for our third edition.
   저희 햇-마:당 세 번째 에디션에 함께 해주신 “The other-land”나 최근 인스타그램에 공유하신 작업 과정을 보면 프린트물을 활용하거나 텍스트를 자주 작품에 사용하시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 Traditionally, oriental paintings are firmly rooted in the literature and calligraphy of scholars. I also often get inspired by literature, which my major might influence in oriental painting. Another reason that I collect printed text and use it on work is to visualise what is already recorded within us. The large-scale work that I worked on during the residency in the Netherlands was also based on collecting dates and data. I didn't notice it before, but I found out that I have collected and kept things since moving to Europe. It can be a longing for settlement, or psychologically it can be an expression of anxiety and desire to prove yourself while living in a foreign country. For me, the collection of documents is the expression of myself as a living record in itself. The way to deeply engrave these records was to collect them, which is often useless to anyone. It was though very special records and messages for me. That's why I used them as a source of work frequently.

︎︎︎ 전통적으로 동양화는 학자들(Scholars)의 문학과 서예에서 비롯된 그림이고 저 역시 문학을 통해 많은 영감을 얻다 보니 텍스트 작업 또한 제 전공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또 제가 이미 프린트된 텍스트를 수집하고 작업에 이용하는 것은 우리 안에 이미 기록된 것들에 대한 시각적인 표현이기도 해요. 제가 네덜란드 레지던스에서 처음 했던 큰 작업도 날짜와 데이터를 수집하는 작업이었는데요, 저도 모르게 유럽에 온 뒤 뭔가를 자꾸 모으고 간직하려고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그건 정착에 대한 갈망일 수도 있고, 심리학적으로는 외국에 살면서 나를 증명하고 싶다는 불안과 욕구의 표현일 수도 있어요. 저에게 있어 기록의 수집은 저 자신이 그 자체로 살아있는 기록이라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고, 그 기록이 깊이 새겨지는 방식이 일종의 수집이었고, 그 수집은 주로 무용하지만, 제겐 특별한 기록이자 메시지였기에 텍스트를 작업의 소재로 많이 이용했어요.




“A Map of the fort” was created during the residency in the Kunst Fort(KUNSTFORT Bij Vijfhuizen).
The map, projected in bird-eye perspective, represents the lives of people who are remembered by numbers,
collected from the tombstone plates in the Fort. (In collection of Gemeente Haarlemmermeer)



︎︎︎ The tattooed flower series is another kind of work in which the text is used, but differently than in the context of "the text as a collection of records." It was inspired by Middle ages paintings holding long papers with messages. In the Middle ages paintings, you can find these long papers with biblical texts or the importance of morals to express religious beliefs. In early still-life paintings, jewels and skulls were also used as subjects to emphasise a similar message. When I was living in Berlin, I met people with tattoos. From them, I got an idea to carve the same thing on the plant, what they had on their bodies. This way, I wanted to express the paradox that we, like plants, will disappear one day. Such expression also conveys whether art, as it used to be, can still give a message about morality or rumination on death. Personification and poetic expression of plants are also things that I still borrow from the oriental paintings.

︎︎︎ 기록 수집으로서의 텍스트 외에도 다른 작업, 예를 들면 Tattooed flower 시리즈 같은 경우는 메시지가 적힌 긴 종이를 쥐고 있는 중세 시대의 그림들에서 영감을 받았어요. 당시 종교적 신념을 표현한 그림들에서 성경의 글귀나 도덕의 중요성을 이런 식으로 전달했고 초기의 정물화에도 보석과 해골 등을 주제로 사용해서 이러한 도덕을 강조했죠. 베를린에 살았을 때 문신한 사람들을 마주치며 그들이 몸에 새긴 것을 저는 식물에 새겨 우리도 식물과 같이 언젠가는 사라질 것이라는 패러독스를 표현하고 싶었어요. 그런 표현은 또한 예술이 예전과 같이 현대에도 여전히 도덕성 또는 죽음에 대한 반추에 대해 메시지를 줄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기도 했습니다. 식물에 대한 의인화와 시적인 표현 역시 제가 여전히 동양화에 기대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The tattooed flower, mixed media on canvas, 2018



5. It seems your works are largely influenced by Eastern philosophy and Oriental painting, which you’ve majored in.
   동양화와 동양 철학을 전공하신 것이 작품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 같네요.


︎︎︎  After having lost a family member, I started studying Eastern philosophy, especially the expression of paradise and its background.  The loss was tough for me personally, but I couldn't stop studies since I had just started my master's degree. At least I wanted to study what comforts me. Many drawings of oriental paradise are mainly based on a short Chinese novel called "The Taohua Yuan Ki." In the novel, paradise is described as a space where the concept of time has disappeared and a space you can reach after passing through a dark cave. The author describes a paradise as if it were a real place, but through many symbols, it is considered a place that can only be reached after death. I focused on how a paradise was interpreted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aintings. How it reflects the state of the different periods, and how it could be expressed in the present time. The part that I wanted to bring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paradise to the present one was the stopped or disappeared 'temporality' in particular.

︎︎︎ 저는 가족 중에 한 분을 잃고 나서 동양 철학의 낙원에 대한 표현과 배경에 관한 공부를 시작했어요. 개인적인 상실이 너무 힘들었지만, 그때가 석사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되었던 때라 공부를 그만둘 수 없었기에 그렇다면 적어도 제게 위로가 되는 공부를 하고 싶었어요. 중국의 <도화원기>라는 짧은 소설을 바탕으로 동양의 낙원에 대한 많은 그림이 그려졌는데 그 소설에는 낙원은 어두운 동굴을 통과하고 난 후 도착 할 수 있는, 시간이 사라진 공간으로 묘사됩니다. 작가는 마치 실제 존재하는 곳처럼 낙원을 그리고 있지만, 많은 상징을 통해 죽음 이후에야 갈 수 있는 곳으로 여겨집니다. 제가 중점적으로 다뤘던 것은 낙원이 한국, 중국, 일본의 그림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어떻게 시대 상황이 반영되었으며 또 현재의 낙원은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가였어요. 제가 전통의 낙원에서 현재의 낙원에 끌어오고 싶었던 부분은 특히 그 멈춰진, 혹은 사라진 ‘시간성’ 이었습니다.






6. Where do you get the inspiration? What do you do when you feel stuck?
    작가님은 주로 어디서 영감을 얻으시나요? 작업을 하다 보면 잘 안 풀리거나 슬럼프가 올 때도 있을 텐데요.

︎︎︎ Most of the inspiration comes from reading books or observing social phenomena and surroundings. When I feel stuck, I stop working for a while and instead grab a book, watch a movie, or walk a lot. When I'm under a lot of stress, I record in some sense. Since I was young, I've been keeping a diary, and I think it helps me a lot. Among all these, reading is my favourite. I feel that my imagination expands when I imagine images while reading a book. Making my own routines and turning them into a habit helps me too, such as exercising(walking), working on art when the concentration is high, reading, and keeping a diary.

︎︎︎ 저는 주로 책을 보거나 사회적 현상 및 주변 관찰을 통해 영감을 얻습니다. 슬럼프가 올 때는 당분간 작업을 멈추고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거나 많이 걸어요. 스트레스가 많을 때는 기록을 합니다. 어릴 때부터 해온 일기 쓰는 습관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고 제게 도움이 많이 된다고 느껴요. 그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은 독서인데 책을 읽으면서 이미지를 상상할 때 상상력의 폭이 넓어진다고 느낍니다. 운동(걷기), 집중력 높은 시간에 메인 작업, 독서, 일기 이렇게 저만의 루틴을 만들어서 습관화시키는 것도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7. It seems that more and more Korean artists have been working abroad recently. What made you decide to leave Korea and work abroad? 
   요즘 해외에서 활동하는 아티스트들이 점점 많아지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작가님이 한국을 떠나 해외에서 활동하기로 하신 계기는 무엇인가요?

︎︎︎ I studied in Korea for a long time, but my thirst was not quenched. That's probably why I came abroad to study. I was afraid to start all over again, but the excitement was even greater. If I hadn't studied in Korea for a long time, I might not have come here. I deeply felt the joy of learning new things while studying. I enjoyed the course of constantly questioning, destroying, and rebuilding what I had learned, continually facing my limitations, and moving in a slightly different direction. One day during my Ph.D., after one of my presentations, someone asked me about my future plans and dreams. I answered that I wanted to experience the world. So I'm probably leaving. Not long ago, I got a call from a friend who remembered those words. He said he was surprised that I actually left my home country and am living abroad, as I said before. Sometimes I think that I take responsibility for what I say if I say something about what I want to achieve.

︎︎︎ 한국에서 길게 공부했지만 그런데도 갈증이 해결되지 않아서 해외에 오게 된 것 같아요. 모든 것을 다시 새롭게 시작한다는 것에 두려움도 있었지만 설렘이 더 컸어요. 만약 한국에서 공부를 길게 하지 않았다면 저는 이곳에 오지 않았을 겁니다. 공부하면서 새롭게 알아가는 즐거움을 깊게 느꼈는데 끊임없이 배운 것들을 의심하고 파괴하고 재건하면서, 제 한계를 계속 마주하며 조금씩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즐거움이 있었어요. 박사과정 중에 어느 날 발표가 끝나고 누군가 제게 앞으로의 계획과 꿈에 대해 질문했는데 그때 제가 세계를 경험하고 싶다고 말했어요. 그래서 아마 떠날 거라고. 얼마 전에 그 말을 기억하던 후배에게 연락을 받았는데, 그때 말처럼 정말 떠나서 살고 있다는 것에 놀랐다고 하더라고요. 때론 내가 이루고 싶은 것에 대해 말을 하게 되면 그 말에 책임을 지게 된다고 생각해요.



8. It must be somewhat different to work abroad compared to working in Korea. What i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you realised while working in Europe? 
   해외에서 활동하는 것은 아무래도 한국에서의 활동과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 거라 예상됩니다. 작가님이 유럽에서 활동하시면서 느낀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 Working in Europe, I was able to feel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profession of an artist. At the beginning of my career, I didn't do anything else but worked in artist residencies and only participated in some projects and exhibitions. When I said that I was a professional artist back in Korea, it was often regarded as not having a profound job. But here, people recognise and often respect the artist as a profession. They must know how difficult it is to live as an artist. Another difference is the small cost that the artist has to bear for solo exhibitions. However, it is not always easy to be selected to hold a solo exhibition. But, to my knowledge, there are few galleries here where artists have to pay a rental fee. It's also different here that there are various opportunities for financial support for artists. I also feel that in the Netherlands, art is more closely connected with society. I have recognised that many works criticise and point out social problems, unlike in Korea, where they focus more on commercial themes such as decorative and lyrical. That's probably to do with the fact that art is more connected and indeed affects society here.

︎︎︎ 유럽에서 활동하며 예술가라는 직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활동 초반에는 다른 일은 하지 않고 아티스트 레지던스 등에서 작업하고 몇몇 프로젝트와 전시에만 참여했었는데, 한국에서, 제 직업이 예술가라고 하면 뚜렷한 직업이 없는 사람이라고 받아들여졌습니다. 하지만 여기선 제대로 인정을 해주고 심지어 존경을 표하는 경우도 있었어요. 예술가라는 직업을 유지하고 산다는 게 얼마나 힘든지 안다는 거죠. 또 하나는 개인전에 작가가 감당해야 하는 비용이 적다는 것. 그만큼 선택되어야 개인전을 할 수 있다는 어려움이 있지만, 작가가 대관료를 지급해야 하는 갤러리는 거의 없다고 알고 있어요. 예술가를 위한 경제적 지원의 기회가 다양하게 있다는 차이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예술이 사회와 긴밀히 연결된 느낌도 받아요. 그래서 상업성이 짙은 장식적이고 서정적인 주제보다 사회비판의 의미를 다룬 주제가 많고 실제로 예술이 사회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이 한국과 다르다고 느낍니다.



9. As a foreign artist, is there something to be careful about or any system to be improved?
    외국인 아티스트로서 조심해야 할 부분이나, 시스템적인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이 있을까요?

︎︎︎ When you work abroad, you will occasionally come across organisations that benefit from using foreign artist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local culture. In Berlin, there were also residencies with very expensive monthly rent and tuition, but there were always no local artists. As an international artist, You should always watch out for those that sell 'experience' for a high price, using brands such as 'Berlin' or 'Amsterdam.' What I found systemically tricky here in the Netherlands was to find a studio. Luckily the municipality of Amsterdam supports the studio for the artist, which I tried several times, but it's almost like catching a star in the sky. The rent of a studio is not cheap here, so it's even more difficult when you look for the affordable one. The good intention of helping artists like this doesn't always apply to a foreign artist since the Dutch art scene isn't very big. It's entirely my opinion, but the smaller the art scene, the more it prefers local artists. When I was working in Berlin, where the art scene is more extensive than here, there were many opportunities and chances to try many things freely. Compared to that experience, I feel that the Dutch art scene is minor.

︎︎︎ 해외에서 활동하다 보면 그 나라 문화를 잘 모르는 외국인 작가들을 이용해서 자신의 이익을 채우려는 조직들을 가끔 접하게 됩니다. 베를린에도 아주 비싼 월세와 수업료를 요구하는 레지던스들이 있었는데 그런 곳에는 늘 현지인은 없었어요. ‘베를린’이나 ‘암스테르담’이라는 브랜드를 이용해서 국제 작가들에게 ‘경험’을 비싼 돈을 받고 파는(장사하는)곳을 늘 경계해야 한다는 점을 당부하고 싶습니다. 시스템적으로 제가 이곳 네덜란드에서 힘들었던 것은 작업실을 구하는 문제였는데, 암스테르담 시청에서 작업실을 후원해 주는 시스템이 있어 수차례 시도했지만 하늘의 별따기처럼 느껴졌습니다. 작업실 렌트 가격도 만만치 않아 덜 부담되는 쪽으로 찾다보니 더 힘들었어요. 이렇게 예술가를 도와주려는 취지는 좋은데 네덜란드의 아트씬이 크지 않아서 외국인 아티스트에게는 바운더리가 유난히 높게 느껴질 때가 있어요. 전적으로 제 생각이지만, 아마 아트씬이 작을 수록 자국의 아티스트를 더 선호하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이 곳보다 아트씬이 큰 베를린에서 활동할 때 오히려 여러 기회들이 찾아왔고 자유롭게 시도해볼 수 있었던 경험과 비교하면 네덜란드의 아트씬이 작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10. Please share a word or tips for fellow Korean artists who are also planning to work abroad! 
     해외에서 활동을 계획하고 있는 후배 및 동료 아티스트들을 위한 응원의 한 마디 부탁드립니다!


︎︎︎ Living in a foreign country can be a challenge in itself, but even more so as an artist. Wherever it might be, many people like me, who really like this job, will often be frustrated and face the limit once in a while. I read somewhere that it would be nice if we thought of ourselves as explorers. It meant to keep living as if we were on exploration even after many failures. The life of an artist must also be all about living, exploring, and experimenting in the one and only world that we live in. And we must keep on trying to express one's way regardless of success or failure. I also tell myself often that for an artist, direction is more important than speed. Thinking that working is a never-ending study, I hope you have the courage to plan your ways to work abroad. I also support all challenges to expand your perspective.

︎︎︎ 외국에서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챌린지가 될 수 있는데 거기에 예술가로 산다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 일이라고 느껴요. 장소를 불문하고 많은 분이 저처럼 이일을 정말 좋아해도 매번 절망이 오고 한계를 느끼리라 생각해요. 우리 자신을 탐험가라고 생각하고 살면 좋겠다는 말을 어딘가에서 읽은 적이 있어요. 수많은 실패를 거듭해도 우리는 계속 이 세계를 탐험하는 중이라고 생각하고 살자는 의미였는데, 모두에게 한 번뿐인 삶에서 세계를 탐험하고 실험하면서 살아가고 성공의 여부를 떠나 끊임없이 자신의 방식을 표현하면서 사는 것이 예술가의 삶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예술가들에게 속도보다 방향이 중요하다는 것을 저 자신에게도 늘 강조하고 있습니다. 작업하는 일이 멈추지 않는 공부라고 생각하면서 해외 활동을 계획하는데 용기를 갖기를 바라고, 자신의 세계관을 확장하기 위한 모든 도전을 응원합니다.



11. It is impressive that you share your daily progress via Instagram, like keeping a diary, which must not be easy. How did you first start the project?
     작가님이 인스타그램을 통해 작업 과정을 일기처럼 기록하시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매일 작업 과정을 공유하기가 사실 쉽지만은 않은 일인데, 어떻게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셨나요?

︎︎︎ Like many other people, I also struggled with being stuck since the pandemic. I started this project because I needed motivation. I also wanted to look back on my work in a situation where it was difficult to connect with anywhere. It is also a journey that questions whether the work process itself can become art and other questions that follow. It's really hard to post every day. But, of course, I get stuck with this sometimes too. Recently, when that happens, I freely call it a day-off. But, even when I have a day-off, I still keep the rule of one-post-a-day. Instead of posting something about work, I share other photos. The upside of this project is that I get inspired through this process. The downside is that due to the nature of Instagram, I'm more likely to waste time looking at feeds. Also, I have to try hard so that posting does not become the sole purpose of the work.

︎︎︎ 팬데믹 이후에 많은 분처럼 저도 정체기에 갇혀서 조금 힘들었어요. 이 프로젝트는 저를 자극하는 무언가가 필요해서 시작했습니다. 어디와도 연결이 힘든 상황에서 제 작업을 스스로 돌아보고 싶기도 했고요. 또 작업 과정 자체가 예술이 될 수 있는가 에 대한 질문과 그에 따라오는 여러 질문이 담긴 여정이기도 해요. 매일 포스팅을 해야 한다는 것은 사실 힘들긴 하죠. 하지만 물론 여기서도 가끔 슬럼프가 오는데 그럴 때 저는 요즘 쿨하게 데이오프합니다. 대신 매일 포스트의 룰은 지키고 싶어서 데이오프 할 때도 다른 사진들을 공유하고 있어요. 이 프로젝트의 장점은 이 과정을 통해 제가 영감을 얻는다는 것이고, 단점은 인스타그램의 특성상 어느덧 다른 포스트를 보느라 시간을 낭비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입니다. 또한 포스트가 작업의 목적이 되지 않게 늘 경계해야 한다는 고충이 있네요.



︎ kellyjang_project



12. Last but not least, please share your thoughts about Het Ma:dang! How was your experience contributing to the edition?
     마지막으로 햇-마:당에 참여하게 된 계기와 후기 또는 감상을 짧게 공유 부탁드립니다.


︎︎︎ I came across Het Ma:dang from a Korean community in the Netherlands on a social network. I participated in one of the open calls. First, when I saw the articles published on the website, I immediately felt it as a fresh collective platform. Also, the purpose of the platform was very good. I had a feeling that we could have some fun in this courtyard with everyone regardless of race by introducing Korean culture. I also believe that this could become a venue for cultural collaboration. It was a nice opportunity to think about my work agai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team and sharing my writing and work.

One last thing to say, I hope Het Ma:dang, full of good energy, grows bigger soon. And I dream about the day that we join in for seminars, performances, collaborations, and exhibitions.

︎︎︎ 소셜네트워크의 네덜란드 커뮤니티 그룹에서 오픈콜을 보고 햇마당에 참여하게 되었는데요, 먼저 웹사이트에서 업로드된 글들을 보고 신선한 콜렉티브 플랫폼으로서의 느낌이 확 왔어요. 이 플랫폼의 취지도 너무 좋았고요. 한국문화를 이곳에 소개하면서 인종에 상관없이 모두와 마당에서 흥겹게 같이 놀 수 있을 것 같은 느낌도 들고 이곳이 문화 콜라보레이션의 장(마당)이 되어가고 있다고 믿습니다. 햇-마:당 팀과 소통하며 제 글과 작업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다시 한번 저의 작업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좋은 에너지가 충만한 이 플랫폼 햇-마:당이 확장되어서 다 함께 세미나도 하고 공연도 하고 협업과 전시도 같이 할 수 있는 날을 고대해봅니다.






[July, 2021]
 


Artist


Kelly Jang ︎︎︎︎

    Kelly Jang majored in Korean Painting in South Korea and received her Ph.D. degree with a thesis based on Eastern Philosophy. Since participating in the Artist-in-Residence in the Netherlands in 2014, she has worked in Germany and the Netherlands. She has dealt with the subject in her work, such as life and death, time and space in combination with Still Life themes. Recently, she has been studying the inner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and the text. The main theme of her work is the question of time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created through the image and the image created through the text.

See articles by this artist ...
Vol.03  I Article No.1  I The Other-land (2021) by Kelly Jang 
켈리 장 ︎︎︎

    켈리 장은 한국에서 한국 회화를 전공하고, 동양 철학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4년에 네덜란드에서 진행한 아티스트 레지던시에 참여한 후, 독일과 네덜란드에서 개인전과 티칭 등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켈리 장은 작업의 주제로 삶과 죽음, 시간과 공간을 스틸라이프의 테마와 결합하여 표현해 왔다. 최근에는 대상과 텍스트와의 내적 관계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고, 이미지를 통해 생성된 텍스트와 텍스트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시간’에 대한 질문을 테마로 작업을 하고 있다.


이 작가의 참여 글 : 
Vol.03  I Article No.1  I The Other-land (2021) by Kelly 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