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us      I       Editions       I      Interview  
︎ Prev       Index︎       Next ︎

︎
Vol. 07


Available in both Eng / Kor
(for mobile users) Please scroll down for Korean version
(모바일) 아래로 스크롤하시면 한국어 버전으로 읽으실 수 있습니다.


A tiger is coming!
A promise to the better tomorrow



   With the second Covid year-end approaching, we still didn't lose our hope despite the several setbacks we have experienced the past year. Wishing next year to be better, no, believing that it sure will be, we are waiting patiently, hiding in a den.

    The year 2021 has been a year that disappointed us in every sense. At this time last year, we waited on a vaccine to come save our world, but somehow this year has been even more difficult than the first year of Covid. Maybe because it disproved our hopes and expectations that there would be an end soon? Or because of the endlessly repeated disappointment on humanity, which we thought to be mature? Passing the endless tunnel, observing the number of positive cases that kept increasing despite all the individual efforts, perhaps we've been pointing out at each other. However, we cannot give up the fight on this brutal battlefield. We are continuously looking for another way, doing our best to fight against another variation, and hoping that the time will pass safely for everyone. And we believe that next year we won't need to stick another cotton swab in our nose to go on a summer vacation.

    Although we had a year that "unprecedented" has been spoken of the most in our history, the year-end makes us a little excited, and our hearts are warmed despite the situation. Perhaps it is because it's the time of the year that we look after our neglected neighbours and get in touch with distant friends and family once again. If mankind were initially selfish, we would've only taken care of our own interests more and more to survive the cold. But seeing ourselves showing the willingness to live together by having more compassion for others and exchanging gifts, there seems to still be hope for humanity. Even lonely people with nothing in their possession listen to carols, put up some Christmas decorations, and think of Santa, whom they stopped believing many years ago. Prepare a cup of warm chocolate and a calendar for next year, thinking about how the past year went by, what to do next year, and make a New Year's resolution.

    The seventh edition of Het Ma:dang contains six works that interpret the concept of time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celebrate the end of the year. At the time of the year where you suddenly realise the time passing, the six authors - writers and artists - tell stories about time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A story about how humans have perceived and limited the concept of formless time. Writing about how the author defines seasons based on the senses rather than a date on the calendar. A critique on human-centred perspective and suggesting a new calendar reflecting the ecosystem. A project about saving the lives of neglected neighbours as one of the members that make up the planet. A story about the meaning of the past time that helped the author grow. And a story that the author search for the value of the end of the year spent abroad.

    The year 2022 is the year of the Black Tiger. We hope that every obstacle can be overcome in 2022 with the spirit of a tiger. We also hope that readers have a chance to think about time and about making a better world both personally and in a larger sense through reading this edition. We sincerely hope that year 2022 will be full of tiger energy for everyone reading this and anyone else.


범 내려온다!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코로나와 함께 하는 두 번째 연말을 맞은 지금, 우리는 그동안 겪은 좌절에도 여전히 희망을 잃지 않은 채 몸을 웅크려 있다. 다음 해는 더 나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아니 반드시 그럴 것이라고 믿은 채 말이다.


    지난 일 년은 우리의 기대를 많이 저버린 한 해였다. 코로나로 보낸 첫해인 2020년보다 올해가 유독 더 힘들게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백신을 기다리며 희망적인 미래를 꿈꿨던 작년과 달리 곧 끝날 것이라 생각했던 기대가 무너졌기 때문일까. 또는 인간이라는 존재는 생각만큼 성숙하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데 지친 것인지도 모른다. 분명 꾸준히 노력하는 개개인은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력을 배신하는 확진자 수와 끝없는 터널과 같은 상황 속에서 우리는 서로를 향한 힐난뿐인 듯이 보인다. 그럼에도 이 치열한 전장에서 싸움을 포기할 수 없기에 우리는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며 이 또한 지나가기만을 간절히 바랄 뿐이다. 그리고 믿는다. 내년에는 코에 면봉을 박는 일 없이도 여름 휴가를 갈 수 있을 거라고.


    "전례 없는"이라는 단어가 일상이 된 한 해를 보냈지만, 연말이 되니 이런 상황에서도 괜스레 마음이 들뜨고 온기가 느껴진다. 어쩌면 이 시기가 소외된 이웃을 돌보고 그동안 멀어졌던 친구들과 소홀했던 가족에게 얼굴을 비추는 때인 까닭일 것이다. 만일 사람이 날 때부터 이기적인 동물이라면 추위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기 이익만을 챙겼을 것이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함께 온기를 공유함으로써 얼어 죽지 않고 겨울을 견뎌내 왔다. 이런 때가 되면 주변 이들과 온정을 나누고 베풀고자 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우리에게 아직 충분한 희망이 있음을 넌지시 보여주는 듯 하다. 풍요롭지 못하고 외로운 사람들도 연말이 되면 같은 캐럴을 듣고, 이제는 믿지 않는 산타클로스를 떠올리며 문 앞에 크리스마스 장식을 내건다. 따뜻한 코코아 한잔과 함께 이듬해 달력을 준비하며 지난 한 해를 돌이켜보고, 내년에는 또 어떤 일을 해나갈지 새해 다짐을 세워본다.


    햇-마:당의 일곱 번째 에디션은 연말을 맞아 시간이라는 개념을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한 여섯 편의 작품을 담았다. 평소에는 의식하지 못했던 시간의 흐름이 온몸으로 느껴지는 이 시기에 참여 작가 여섯 명은 제각기 다른 시선으로 시간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형태가 없는 시간이라는 개념을 인간이 어떻게 인지하고 또 스스로 구속해 왔는지 알아보는 한편, 일 년 사계절을 달력 속 날짜가 아닌 감각으로 정의해보거나 인간 중심적 사고를 벗어나 더 큰 관점에서 탄생한 새로운 달력을 제시한다. 지구를 이루는 생태계 구성원 중 하나로서 또 다른 생명을 가진 이웃을 돌보는 프로젝트, 그리고 자신을 성장하게 한 시간의 의미와 타지에서 보내는 연말의 가치도 이야기한다.


    다가오는 2022년은 검은 호랑이의 해다. 부디 2022년은 호랑이 기운으로 모든 난관을 헤쳐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이번 호를 통해 독자들이 시간에 대한 새로운 영감을 발견할 수 있기를 바라고, 개인적으로나 더 큰 의미에서나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갈 수 있기를 응원한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또 그렇지 않은 모두에게 호랑이 기운 가득한 2022년이 찾아오길 진심으로 바란다.




[17th Dec 2021]

Chaereen Kong, Editor-in-chief & Alim Kim, Editor








NO. 1 


English  / Korean  

︎

The birth of the myth of a clock flower (2021)


Chanbyul Park
     Graphic novel <The birth of the myth of a clock flower> is the most basic scenario of 'Garden of  Shadow.' The designer used a visual material, shadow, to study the metaphysical concept of time and light.

    Since shadows emerge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light and object, they are the evidence of being material and not just abstract. Light is an immaterial matter that reveals all other substances. Where there is light, everything with mass, from elephants to molecules, gets a shadow. In a universe where light is natural, shadows are evidence of existence. To tell the complex story more simply, the designer created graphic scenarios. The graphic novel contains three issues and stori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elements of 'light, object, and shadow.' Each scenario resulted in paintings and objects, and <The birth of the myth of a clock flower> is the first story of the three scenarios.

    In the graphic novel <The birth of the myth of a clock flower>, a village uses a sundial. Using the principle that one light creates one shadow, the villagers made a sundial. They regarded the movement of the shadows as 'time' and followed it. Humans put the concept on the shadow to understand time, which is non-substantial. The clock hand we use today results from the evolution of the shadows created by gnomon.

    Humans could finally perceive the existence of something through the shadow, numbered the ends of the shadows, and subordinate themselves to the concept. Shadows can thus be tool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humans form with different concepts and objects.

 

www.chanbyulpark.com
Instagram_@chanbyulpark
chanbyulpark@gmail.com




Artist

Chanbyul Park︎︎︎
    Designer from South Korea based in Eindhoven, the Netherlands. After completing her Bachelor's studies in Industrial Design at Ewha Womans University in Seoul, she majored in Contextual Design at Design Academy Eindhoven, where she obtained her Master's degree.
    As an artist-designer, Park is interested in recording her perspective on the order of nature on two- or three-dimensional objects. Cubism and Impressionism are examples of how painters portrayed the world from their perspectives on drawings. In writing, such a portrayal is achieved through various types of literature, such as poems and novels. By researching these different ways of documenting the world, Park has established her unique way of recording how she interprets the world in her works. These works include paintings, objects, and visual novels.
박찬별︎︎︎
    네덜란드 아인트호벤에 기반을 둔 한국 출신 디자이너이자 예술가. 2017년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 학사 과정을 마친 뒤, 2021년 디자인아카데미 아인트호벤에서 Contextual Design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예술가 그리고 디자이너로서 작가 박찬별은 주로 세상을 2차원 또는 3차원 물체에 기록하는 데 관심이 있다. 세상은 3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가 삶에서 기록을 행하는 도구들은 대부분 2차원의 형식을 띠고 있다. 작가 박찬별은 자신이 속해있는 3차원의 세상을 2차원에 기록하는 방법과 그것을 다시 3차원의 형태로 치환하는 작업을 연구한다. 화가들은 입체파, 인상주의와 같은 화풍으로 자신들의 세상을 그림에 묘사해왔고 작가들은 시, 소설, 수필과 같은 형식을 이용해 그들의 세상을 기록한다. 작가 박찬별은 그들이 사용했던 기록의 방법을 재탐구하는데 흥미가 있으며, 더 나아가 자신만의 방법으로 세상을 기록하고자 한다. 

NO. 1 


English  / Korean  

︎

시계 꽃 탄생설화 (2021)


박찬별
    그래픽 노블 <시계 꽃 탄생설화>는 작가의 또 다른 작업 ‘Garden of Shadow’의 가장 기본이 되는 시나리오로, 시간과 빛이라는 형이상학적 개념을 ‘그림자’라는 가시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그림자는 빛과 사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생겨난다. 빛은 비물질적 물질로서 다른 모든 물질을 드러나게 하며 빛이 있는 곳에서는 코끼리부터 분자에 이르기까지 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가 그림자를 가진다. 즉, 빛이 있다는 것이 자명한 우주에서, 그림자는 존재의 증거가 된다. 다소 복잡한 이야기를 더 간단하게 전달하기 위해, 작가는 그래픽 시나리오를 창작했다. 총 세 권으로 구성된 시나리오는 기본적으로 ‘빛, 사물, 그림자’ 이 세 가지 요소가 가지는 관계성을 통해 전개되며 각 시나리오로부터 페인팅과 오브젝트가 각각 파생되었다. 위에 소개된 시계꽃 탄생 설화는 세 권의 시나리오 작업 중 첫 번째 이야기이다.


    시나리오 ‘시계 꽃 탄생설화'에는 해 시계를 사용하는 한마을이 등장한다. 하나의 빛이 하나의 그림자를 만들어낸다는 원리를 이용해 마을 사람들은 해 시계를 만들었고 그들은 그림자의 움직임을 ‘시간’이라고 여기며 그것을 따랐다. 실체가 없는 시간이라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인간은 실재하는 그림자 위에 보이지 않는 개념을 고착시켰다. 실제로, 노먼(gnomon:해 시계의 바늘)이 만들어내는 그림자가 진화해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시곗바늘이 되었다.


    인간은 그림자를 통해서야 비로소 실체가 없던 어떠한 존재를 인지 할 수 있었고, 그 그림자의 끝에 숫자를 매기고 그것을 시간이라 부르며 스스로 그 개념 안에 종속되었다. 이처럼, 그림자는 다양한 개념, 그리고 인간이 대상과 형성하는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도구가 될 수 있다.
 


www.chanbyulpark.com
Instagram_@chanbyulpark
chanbyulpark@gmail.com




Artist

Chanbyul Park︎︎︎
    Designer from South Korea based in Eindhoven, the Netherlands. After completing her Bachelor's studies in Industrial Design at Ewha Womans University in Seoul, she majored in Contextual Design at Design Academy Eindhoven, where she obtained her Master's degree.
    As an artist-designer, Park is interested in recording her perspective on the order of nature on two- or three-dimensional objects. Cubism and Impressionism are examples of how painters portrayed the world from their perspectives on drawings. In writing, such a portrayal is achieved through various types of literature, such as poems and novels. By researching these different ways of documenting the world, Park has established her unique way of recording how she interprets the world in her works. These works include paintings, objects, and visual novels.
박찬별︎︎︎
    네덜란드 아인트호벤에 기반을 둔 한국 출신 디자이너이자 예술가. 2017년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 학사 과정을 마친 뒤, 2021년 디자인아카데미 아인트호벤에서 Contextual Design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예술가 그리고 디자이너로서 작가 박찬별은 주로 세상을 2차원 또는 3차원 물체에 기록하는 데 관심이 있다. 세상은 3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가 삶에서 기록을 행하는 도구들은 대부분 2차원의 형식을 띠고 있다. 작가 박찬별은 자신이 속해있는 3차원의 세상을 2차원에 기록하는 방법과 그것을 다시 3차원의 형태로 치환하는 작업을 연구한다. 화가들은 입체파, 인상주의와 같은 화풍으로 자신들의 세상을 그림에 묘사해왔고 작가들은 시, 소설, 수필과 같은 형식을 이용해 그들의 세상을 기록한다. 작가 박찬별은 그들이 사용했던 기록의 방법을 재탐구하는데 흥미가 있으며, 더 나아가 자신만의 방법으로 세상을 기록하고자 한다. 

NO. 2


English  / Korean  

︎

Alone in the Netherlands


Shinyoung Kang

Film “Home Alone(1990)”

    Kevin from "Home Alone" and Mariah Carey's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seem to be planted somewhere in my body and pops up whenever the season arrives. Some might say they are tired of these Christmas clichés, but I'm rather thankful that they start up the season and fill the Christmas vibe wherever I am. It might be because of the restriction imposed by Covid-19, but the End-of-year in the Netherlands is rather quiet this year. It is even more so when I compare it to how it used to be in Korea, where the days pass quickly with all those year-end and new year gatherings. Since most of my foreign friends visit their parent's house or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for the holidays, I tend to look around my surroundings more quietly when I spend the end of the year in the Netherlands.


    As summer time ends and the nights in Europe get longer, the Christmas lights on the streets fill the dark night. With another COVID lockdown, I assumed the streets would be quiet since the stores closed early and the Christmas markets were cancelled. Surprisingly, I could still feel the Christmas mood from the Christmas decorations and trees of the shops. In Korea, where it's always lighted up at night, I realised the season by the white snow that suddenly came during the busy days or by the songs played on the streets. This is the fifth time I have spent the end of the year in the Netherlands. I gradually feel the season in the Netherlands by the nights getting longer and by the decorative lights on the streets that increase the numbers each day.


    The nights on the streets are getting longer, but the nights in the Dutch house are even longer and deeper. The lights in the house are originally dimmer than in Korea, but you can make the room a little brighter with the candle's warmth if you light up one or two. (Also, you can get rid of the smell of food.) Sometimes I wonder if Europeans prefer less bright lighting so they can use the candles. It's so romantic and charming to light the candles, and it has become one of my small pleasures. The European winter is so long that it's necessary to take vitamin D to survive. Still, sometimes, I can't wait for winter so I can light a bunch of candles at home. 


    At my first and second end of the year in the Netherlands, I had European-style ribs stewed with wine, salmon, crackers topped with cheese, and gluhwein as if I had to. Now that I think about these days, I must have missed and craved spending the good old days with my friends in Korea, where we enjoyed warm golbaengi-tang and soju on a cold winter day. Maybe that's why I tried so hard to have the European year-end suffer as a kind of reward for myself. As another kind of reward for myself, I decided to make Kimchi and steamed pork this year (a tradition in Korea in the winter season). I'm also planning to make an instant version of rice cake soup (Ddeok-guk) by simply putting rice cakes in the ready-made beef bone soup on the first day of the new year. When I was in Korea, I always spent Christmas with my parents and had Christmas cakes. I wish I could order a luxurious cake for my parents, from a famous hotel bakery where I should've made a reservation at least a month in advance. Well, I should not forget and try to send them a coupon so my parents can at least pick up a cake from the bakery around the corner.


    When I was in Korea, I used to go to the winter beach or mountains covered with pure white snow to watch the year's first sunrise on New Year's Day. Come to think of it, it's a very typical hard-working Korean thing to get up early and greet the morning sun of the new year before anyone does. Once I went to Jeongdongjin (a famous beach on the east coast) to watch the sunrise on a freezing day, with overnight trains and buses packed with hundreds of people. It was one tiresome trip, but it seems I miss the good old days rather than the sunrise itself when I think back about that day. It's funny enough that I couldn't actually watch the sunrise as it was cloudy that day. On the other hand, here in the Netherlands, we start the new year with fireworks decorating the sky all day long. Although it was banned last year and again this year due to Covid, the 31st of December is (officially) the only day when fireworks are allowed. Maybe that's why almost everyone goes on the street and sets off firecrackers like little children on the last day of the year. And I must say that Dutch people are pretty cute in their own way seeing these from a Korean perspective. Still, thinking about the ear-hurting sound of the explosion from the night of the 31st to the morning of the 1st, I miss more the quiet morning in Korea waiting for the first sunrise, rather than a sleepless night in the Netherlands.


    Left alone in an empty house, Kevin unexpectedly spends a special(?) time with the thieves and is reunited with his beloved family in the end. Like Kevin, the end of the year in a foreign country can also be a bit lonely. But I hope it turns out to be a precious time missing things that are not by my side or reminiscing about the old days, not only for me but also for everyone else. Everyone tried their best this year. Whether this year has been good or bad, tough or fun, it would be a very satisfying year-end if my deep sympathy could touch anyone who spends the year-end away from their family.




Writer

Shinyoung Kang︎︎︎    
    Self-proclaimed spatial experience designer and religious believer. Born and raised in Korea, came to the Netherlands at a relatively late age. Enjoys discussing our somewhat frustrating and sympathetic lif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See other articles by this wirter...
Vol.01  I Article No.1  I Corona-munal Space

Vol.02  I Article No.3 I Online Amen with Jesus
강신영︎︎︎
    자칭 공간 경험 디자이너이자 신앙인. 오롯이 한국에서 먹고, 자라고, 치열한 사회도 겪고 다소 느지막이 네덜란드로 건너왔다. 왠지 모를 답답함과 괜스레 공감 가는 상황을 새롭고 다양한 관점에서 얘기 나누는 것이 좋다.  


이 작가의 다른 글...
Vol.01  I Article No.1  I 코로나-로운 공유 공간
Vol.02  I Article No.3 I 온라인 아멘과 주님

NO. 2


English  / Korean  

︎

나 홀로 네덜란드에


Shinyoung Kang

영화 “나 홀로 집에(1990)”

    마치 내 몸 어딘가에 심겨 있다가 12월만 되면 온몸에 자동으로 재생되는 것 같은  “나 홀로 집에" 의 케빈과 머라이어 캐리의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지겨울 법도 하지만, 내가 어느 곳에서 있든 항상 연말이 왔음을 알려주고 연말 분위기를 물씬 채워주는 고마운 작품이다. 코로나가 주는 많은 제약 때문일 수도 있지만, 연말/연초 모임으로 눈 깜짝할 새에 지나가던 한국에서의 연말과 달리 올해 네덜란드에서 보내는 연말은 다소 조용하다. 주변의 외국인 친구들이 연휴를 부모님 집에서 보내거나 자신의 나라로 돌아가기 때문인지, 네덜란드에서 연말을 맞이할 때면 평소보다 한적해진 주변을 돌아보게 되는 것 같다.


     서머타임도 끝나고 유럽의 밤이 길어질수록 거리의 크리스마스 조명이 어두운 밤을 채운다. 다시 시작된 락다운으로 상점도 닫고, 크리스마스 마켓도 취소돼서 삭막할 줄 알았던 거리는, 상점들의 크리스마스 장식과 트리들로 한껏 연말 분위기를 밝혀준다. 한국은 밤이 워낙 밝아서 그런지, 바쁜 일상 중 갑자기 찾아오는 하얀 눈과 거리에 흘러나오는 노랫소리로 연말이 왔음을 알았던 것 같은데… 햇수로 5년째 맞이하는 네덜란드의 연말은 어느덧 길어진 밤에 하나씩 늘어나는 거리의 조명 장식을 통해서 서서히 연말을 느끼는 것 같다.


    거리의 밤도 길어졌지만, 네덜란드 집의 밤은 더 길고 깊어진다. 한국에 비하면 원래도 어두웠던 집의 조명에 초를 켜놓으면 촛불이 주는 따뜻함에 실내가 밝아지는 느낌이다. (음식 냄새를 없애주는 건 덤) 가끔은 이래서 유럽사람들이 초를 켜기 위해 어두운 조명을 선호하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내게 겨울밤의 초는 낭만적이고, 매력적인 일상의 즐거움이다. 비타민D를 반드시 챙겨 먹어야 할 정도로 기나긴 유럽의 겨울이지만, 가끔 이렇게 집에서 초를 잔뜩 키는 게 좋아서 겨울이 기다려지기도 한다.


    네덜란드에서 맞이한 첫 해와 둘째 해 연말에는 와인을 잔뜩 넣어 조린 유럽식 갈비탕과 연어, 치즈를 얹은 크래커와 글루와인을 괜스레 의무감처럼 차려 먹었다. 지금 생각해보니 한국의 추운 겨울에 따뜻한 골뱅이탕과 소주를 기울이며 친구들과 보내는 시간이 너무 그립고 허기져서, 괜한 보상심리로 유럽의 연말 상차림을 따라 실컷 해왔던 것 같다. 올해는 또 다른 보상심리로 수육과 김장을 하기로 했고, 1월 1일에는 사골 육수 팩에 떡만 넣어 10분 컷 떡국을 해먹을 예정이다. 한국에서는 항상 크리스마스에 부모님과 같이 크리스마스 케이크를 먹으며 보냈었는데... 한 달 전에 사전 예약해야 겨우 구할까 말까 하는 한국 호텔 케이크를 사드리고 싶지만, 올해는 까먹지 말고 집 주변 베이커리에서 사드실 수 있는 케이크 기프티콘이라도 보내드려야겠다.


    한국에 있을 때 새해가 되면 늘 새하얀 눈이 덮인 겨울 바다와 산에서 일출을 보곤 했었다. 새 나라의 어린이처럼 누구보다도 먼저 새해 첫날의 아침 해를 맞이하는 게 참으로 부지런하고, 정말 한국인답기도 하다는 생각이 들지만, 동해의 일출을 보겠다고 밤을 새워가며 정동진에 어렵게 도착했던 날을 생각해보면, 일출 자체보다 그때의 내가 그립기도 하다. 가는 날이 장날 이라고 그날은 해가 구름에 가려 제대로 보지도 못했다는 건 비밀이지만. 반면, 네덜란드의 새해맞이는 온종일 하늘을 빼곡히 수 놓은 불꽃놀이로 시작된다. 비록 작년과 올해는 코로나로 인해 금지되었지만, 12월 31일은 일 년 중 단 하루, 불꽃놀이가 허용되는 날이었다. 그 때문인지 그날만큼은 밤낮 할 것 없이 너도나도 거리에서 신나게 폭죽을 터트리는 것을 보고, 네덜란드 사람들이 퍽 귀엽다고도 생각했다. 그래도 31일에서 1일로 넘어가는 날, 밤새 집 앞과 거리에서 귀가 찢어질 정도로 폭죽이 터지는 걸 듣고 있자 하니, 올해도 잠 들지 못할 네덜란드에서의 12월 31일을 앞둔 지금은 한국 동해에서 모두가 숨죽여 일출을 기다리던 그 순간이 그립기만 하다.


    텅 빈 집에서 홀로 남은 케빈은 도둑들과 뜻하지 않게 특별한(?) 시간을 보내고, 다시 가족과 애틋한 재회를 한다. 마치 케빈처럼 타지에서 보내는 연말 또한 다소 외로울 수는 있지만, 내 곁에 없는 것을 그리워도 해보고 지난날을 회상도 해보면서 나뿐만 아니라 누군가에게도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올 한해도 모두 수고했다고, 좋든 싫든 힘들었든 재미있었든 가족과 떨어져 타지에서 연말을 보내는 누구에게나 나의 심심한 공감이 전해진다면, 이 또한 더할 나위 없이 뿌듯한 연말이리라!





Writer

Shinyoung Kang︎︎︎    
    Self-proclaimed spatial experience designer and religious believer. Born and raised in Korea, came to the Netherlands at a relatively late age. Enjoys discussing our somewhat frustrating and sympathetic lif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See other articles by this wirter...
Vol.01  I Article No.1  I Corona-munal Space

Vol.02  I Article No.3 I Online Amen with Jesus
강신영︎︎︎
    자칭 공간 경험 디자이너이자 신앙인. 오롯이 한국에서 먹고, 자라고, 치열한 사회도 겪고 다소 느지막이 네덜란드로 건너왔다. 왠지 모를 답답함과 괜스레 공감 가는 상황을 새롭고 다양한 관점에서 얘기 나누는 것이 좋다.


이 작가의 다른 글...
Vol.01  I Article No.1  I 코로나-로운 공유 공간
Vol.02  I Article No.3 I 온라인 아멘과 주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