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us      I       Editions       I      Interview  
︎ Prev       Index︎       Next ︎

NO. 1

︎
The Other-land (2021) Kelly Jang 

 

The Other-land (2021) by Kelly Jang

Swipe through to see close up images
이미지를 옆으로 넘기면, 더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Among my childhood memories, there are clear memories that remain like trauma. One day I arrived at the kindergarten too early, so I closed the door and waited alone in the classroom for the teacher and the other children to arrive. But for some reason, the door couldn’t be opened from outside, so other people could not come in. At that time, I didn't know how to open the door that I closed, and I couldn't even hear the teacher from the outside explaining to me how to open the door from the inside.

I was scared and lonely.

    Even now, I think about that door I closed sometimes. I accidentally settled in an unfamiliar place, with the feeling of being trapped in it without notice. Knowing that no one has locked me in, nor have I indeed never locked the door, but somehow I feel like I made it impossible for anyone to enter. Or I feel like I can't get out on my own. There were days when I became an isolated island myself and the days that this place became like an island that I could not reach.

    <The Other-land> is my view towards the Netherlands. It's also the way I look at myself in this place. This work is done through a collage process on the canvas after working with a brush on the backside of the paper on which the text was printed. It is expressed as if the objects all look similar and appear to be mixed, but the boundaries exist clearly among them. The boundaries may be formed by others or may be by myself. In addition, the use of the backside of the printed paper represents the backside of another world visually, the matter of legibility, and another attempt (e.g., act of soaking with water) to reveal the text on the backside.

    This work is connected with the series of my previous work, “Mind your Gap.” It can be said to be an expression of the unconstrained boundary between my values and the place where I stayed, Germany and the Netherlands. In particular, during this pandemic period, I have realized that people tend to easily define other people while constantly recognizing this boundary and in-between, and so do I. Therefore, I have learned that we need to be wary of not easily judging and defining other people and their culture.
  
    나의 어린 시절 기억 중에 트라우마처럼 남아있는 선명한 기억이 있다. 혼자 유치원에 일찍 도착해서 문을 닫고 선생님과 친구들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그 문이 밖에서 열리지 않아 다른 사람들이 못 들어오게 된 것이다. 그때 나는 내가 닫은 문을 어떻게 열어야 하는지 알지 못했고, 밖에서 선생님이 안에서 문을 열 수 있는 방법을 내게 설명하는 소리도 알아들을 수 없었다.


나는 무서웠고 외로웠다.


    지금도 종종 나는 내가 닫아버린 문을 생각한다. 어쩌다 낯선 곳에 정착했는데, 그 안에 나도 모르게 갇혀있는 기분. 아무도 나를 가둔 적이 없고, 나도 분명 문을 걸어 잠근 적 없는데, 아무도 이 안에 들어오지 못하게 만든 기분. 또는 내가 스스로 밖으로 나갈 수 없는 기분. 그렇게 내가 외딴 섬이 되고, 내가 딛고 있는 이곳이 나에게 닿을 수 없는 섬이 되었던 그런 나날들이 있었다.


    <The Other-land>는 내가 네덜란드를 바라보는 시선이며, 네덜란드에 있는 나를 바라보는 시각이다. 이 작업은 텍스트가 프린트된 종이의 뒷면에 붓으로 작업한 후 캔버스 위에 콜라주 하는 과정을 거친 것으로, 오브젝트들이 모두 비슷해 보여 한데 섞여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사이에 경계선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을 표현했다. 그 경계선은 타인이 나눈 것일 수도 있고, 내가 스스로 만든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글씨가 프린트된 종이의 뒷면을 이용한 것은 다른 세계의 이면과 가독성의 문제, 그리고 뒷면의 글씨가 드러나기 위해서 가해지는 또 다른 시도(물로 적시는 행위 등)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작업은 나의 기존 작업 ‘Mind your Gap’ 시리즈와 연결되는 작업으로, 나의 가치관과 내가 머물던 곳 사이의 좁혀지지 않는 경계에 대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팬더믹 기간 내가 이 경계—사이를 끊임없이 인식하면서도 타인을 쉽게 규정해버릴 수 있다는 것, 또 반대로 타인이 나와 나의 문화에 대해 쉽게 판단하고 정의하는 것이 우리가 정말 경계해야 할 것임을 알게 되었다.

The Text Tree:
The text that explores lost and found
The Text Tree:The text that explores lost and found

Mind your Gap series 2018 : Collaboration with choreographer & dancer
Mind your Gap series 2018 : Collaboration with choreographer & dancerMind your Gap series 2018 : Collaboration with choreographer & dancer




Artist

Kelly Jang ︎︎︎
    Kelly Jang majored in Korean Painting in South Korea and received her Ph.D. degree with a thesis based on Eastern Philosophy. Since participating in the Artist-in-Residence in the Netherlands in 2014, she has worked in Germany and the Netherlands. She has dealt with the subject in her work, such as life and death, time and space in combination with Still Life themes. Recently, she has been studying the inner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and the text. The main theme of her work is the question of time arising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created through the image and the image created through the text.

켈리 장︎︎︎
    켈리 장은 한국에서 한국 회화를 전공하고, 동양 철학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4년에 네덜란드에서 진행한 아티스트 레지던시에 참여한 후, 독일과 네덜란드에서 개인전과 티칭 등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켈리 장은 작업의 주제로 삶과 죽음, 시간과 공간을 스틸라이프의 테마와 결합하여 표현해 왔다. 최근에는 대상과 텍스트와의 내적 관계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고, 이미지를 통해 생성된 텍스트와 텍스트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시간’에 대한 질문을 테마로 작업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