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us      I       Editions       I      Interview  
︎ Prev       Index︎       Next ︎

︎
Vol. 02


Available in both Eng / Kor
(for mobile users) Please scroll down for Korean version
(모바일) 아래로 스크롤하시면 한국어 버전으로 읽으실 수 있습니다.


Life_ver.01.jpeg


 
    I’ve once stayed in a mountain in South Korea to meditate for digital detox. I completely immersed myself in nature for a couple of days. Oh, the birds, trees, flowers, food, non-Seoul air. It was everything I needed to disconnect myself from all the electronics.

    Or so I thought.

    The first few strolls in nature and meditation gave me the detox I hoped for. But somehow, the “toxin” kept knocking on my patience. The food kept the door shut a bit more, but I needed Wifi. I needed my phone, my laptop, just anything that could get me online. I overestimated myself. My dependency on digital life was that of someone out of rehab.

    I believe that it’s not only me who feels the necessity of digital detoxing once in a while. As much as we love our digital clones, we need a vacation from them. Nowadays, (most) of our life happens online. We look for dates, take part in social activities and find comfort online. Is this our reality now? What will our future become?

    Six writers and two artists have participated in our second volume. Each of their unique perspectives and approaches on an intangible reality will make you wonder what more could come. I hope you enjoy reading them as much as I did.  



라이프_ver.01.jpeg



    디지털 디톡스를 위해 한국의 산으로 명상을 하러 간 적이 있다. 새 지저귀는 소리, 푸르른 초목과 아름다운 야생화, 건강한 음식과 서울과는 확연히 다른 공기. 며칠 동안 자연의 아름다움에 흠뻑 빠져 속세의 전자기기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진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아니, 그런 줄로만 알았다.

    처음 몇 번의 산책과 명상은 분명 내가 바라던 디톡스 효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어째서인지 “독소"는 계속해서 내 뒤를 따라다니는 듯했다. 맛있는 음식 덕에 조금 더 버티나 싶었지만, 곧 와이파이가 간절해졌다. 휴대폰, 노트북, 아니면 나를 온라인 세상과 연결해 줄 수 있는 것이라면 그 무엇이든 좋았다. 내가 나를 너무 과대평가했나보다. 중독자가 또 다시 악의 구렁텅이로 빠지는 게 이런 느낌이려나.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건 분명 나 혼자만이 아닐 것이다. 우리는 열심히 복제시킨 디지털 자아를 그토록 사랑하지만, 가끔은 그들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어지지 않는가. 우리의 삶은 점점 더 온라인으로 옮겨가고 있다. 새로운 인연을 만나는 것도, 사람들과 교류를 하는 것도, 때로는 심리적 안정도 온라인에서 찾고 있는 우리를 발견한다. 이것이 이제 우리의 현실일까? 우리의 미래는 앞으로 어떻게 변해갈까?

    햇-마:당의 두 번째 에디션에는 여섯 명의 작가와 두 명의 아티스트가 참여하여 무형의 현실을 각기 다른 시선에서 해석한 작품을 선보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은 어떤 세상인지, 또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지 여러 작품을 통해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16th April 2021]

Shin Woong, Editor



︎
Articles


NO. 1

 

︎
Self Design Committee (2020)
Noam Youngrak Son 




Self Design Committee (2020) by Noam Youngrak Son (link
Artist’s Interview Exhibition  The Self Design Academy, Sep-Nov 2020, MU Hybrid Art House @ Eindhoven, NL
    To design oneself is partly to design the digital representation of oneself. One of the most obvious ways of doing this is through manipulating our facial images and videos by the use of face filters. Face filters enable us to digitally become something else, beyond the boundaries of person, gender, race, age, species. Noam Youngrak Son experimented with this by using the face filter Becoming Noam (2020), which applies their facial image on the face of other people. It provides them an opportunity to act or to make statements as the artist themselves, who in their turn can reproduce and spread themself online.

    Your digital identity may not only be owned by yourself but shared among a wide range of people who can access the face filter. The self becomes polyvocal and self-design becomes a collective task with distributed agency and responsibility. The users of the face filter could be considered as a committee, an organisation of multiple "themselves" to make various political decisions that one encounters while portraying themself online. Self-design, which seemed like a black box, becomes more transparent and democratic through this process.

    스스로가 디지털미디어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디자인하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페이스필터를 사용해서 얼굴의 이미지를 바꾸는 것이다. 페이스필터는 개인, 성별, 인종, 나이, 종의 경계를 넘어 우리를 다른 무언가로 만들어준다. 디자이너 노암 영락 손은 스스로의 얼굴을 다른 사람들의 얼굴에 씌우는 Becoming Noam (2020) 페이스필터를 활용하여 이것을 실험했다. 그것은 사람들이 아티스트 본인의 정체성을 도용해 행동하거나 주장할 수 있게 만들며, 동시에 그 정체성을 온라인 공간에서 재생산하며 확산시킨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인의 디지털 아이덴티티는 온전히 개인의 것이 아닌 페이스필터에 접속 할 수 있는 모두의 것이다. 자아는 다양한 목소리로 표현되고, “셀프 디자인”은 분산된 권한으로 주도되는 공동의 업무가 된다. 이 페이스필터의 사용자들은 여러명의 “나”들이 다양한 정치적 결정을 내리는 공동체, 즉 위원회를 사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셀프 디자인”은 이 과정을 통해 더 투명하고 민주적인 과정으로 탈바꿈한다.






Artist

Noam Youngrak Son
    Noam Youngrak Son is an Eindhoven/Ghent-based designer. They inscribe myths for the underrepresented in various mediums, from books to performances to 3d printed sextoys. They are excited about the unexpectedness that a well-designed fiction can open up, and the critical political discussions that it may cultivate. They use their capability as a designer to visualise and materialise the setup for the technological & ecological bodies that one inhabits to play a role in their fiction.
노암 영락 손
    노암 영락 손은 아인트호벤과 겐트에 거주하는 디자이너이다. 그는 책, 퍼포먼스, 3D프린트된 섹스토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미약한 목소리를 가진 이들을 위한 신화를 기술한다. 그는 픽션으로부터 이어지는 불확실성과 정치적이고 비평적인 대화에 대해 주목한다. 디자이너로서 노암 영락 손의 역량은 그의 픽션에 등장하는 기술적이고 생태적인 주체들을 시각화/물질화하는데 활용된다.



NO. 2 


︎
The unbearable lightness of online dating



Yirang Lim

    I thought this Tinder date was going somewhere. Hanging out with this guy was fun, exciting, and full of happiness. But it wasn’t easy to reach out to him when we were apart. Isn’t texting a new parameter of attention? When we were together it seemed we’re committed to each other, but when we were apart this one was nothing more than a stranger. Then it got me thinking. Oh, maybe I’m the only one thinking we are serious. Hey, haven’t we decided to go exclusive? Doubtfully logging back into tinder and BAM! There, this one changed his profile photo with the one that I took! What the actual F?

    Whichever reason you choose to use an online dating app, whether to meet some new people, to have one night of fun, or to find something serious, we all want some kind of ‘relationship.’ However, how can we be sincere to each other in an online setting? Can we be truly honest with a person who we’ve actually never met? All secretly hiding behind the cool profile, whilst staying semi-anonymous, we’re busy swiping through. Something’s not hitting off? Then go left and find another match. This ambiguity makes me feel anxious. Maybe the problem is just me not able to enjoy the thrill. From matching to talking, talking to meeting-up, and meeting-up to becoming something special, people are filtered out each round and only a few remain in the end. Looking for seriousness in online dating may be a mistake after all.

    We have a saying that one slightest touch of sleeves can bring a relationship. Compared to that, the relationship through online dating is unbearably light, shallow, and short. If you don’t find this person attractive, swipe left. If you find this person attractive, swipe right. Both swiped right? Then it’s a match and you can choose to start the conversation. This very simple principle makes the relationship simple as well. Even if the conversation seems to go well, there’s always the chance that it might go wrong. It’s not like meeting a person at a bar or a café and starting a real conversation. It’s online, you can get to talk to multiple people simultaneously, if one thing goes wrong, it’s so easy to quit. It’s just another un-match. No hassle, no drama. Today, you thought you started a relationship. But tomorrow? You might find (or get exchanged by) someone else more attractive. What a volatile relationship it is!

    Yet, who knows, maybe tomorrow you will meet The One from the app.





[April, 2021]


︎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데, 참을 수 없는 온라인 데이팅의 가벼움에 대하여


임이랑

     틴더로 만난 더치와 연애 중이라고 생각했다. 만남은 재미있고 즐겁고 행복했다. 근데 왜 헤어져 있을 때는 연락이 그렇게 안 되는지!? 연락은 관심의 척도가 아니던가. 만났을 때 한없이 다정하던 사람은 간곳없고 하루 이틀 드문드문 오는 연락에 질릴 즘 스멀스멀 의심이 기어오른다. 혹시 딴 사람 만나나? 아니, 서로 다른 사람 안 만나기로 하지 않았나? 혹시나 해 그의 틴더의 프로필을 확인하는 순간! 내가 찍어준 사진으로 프로필 사진을 바꾼 너란 새끼는 어떤 새끼니.

    새로운 사람을 만나기 위해, 하룻밤 신남을 위해, 진지한 만남을 위해, 이유는 다양하지만 결국 온라인 데이팅이란 어떤 ‘연결’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온라인상에서 얼마나 진지해질 수 있을까?일면식 없는 상대방에게  온전한 정직함을 기대할 수 있을까? 프로필 뒤에 숨어 반쯤 익명의 상태로 소통하다 뭔가 아닌 것 같으면 거침없이 끊고 다른 인연을 찾으면 된다. 매칭에서 대화, 대화에서 실제 만남까지, 사람들은 깔때기에 걸러지고 한 줌이 남는다. 그리고 그 한 줌의 만남에서 실제 진지한 연애까지 이어지기까지는 고작 몇 톨 정도랄까. 아마도 진득하고 진지한 만남을 온라인 데이팅으로 찾는다는 게 어불성설일 수도 있겠다.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데! 온라인 데이팅 앱으로 만나는 인연의 무게는 한없이 가볍고 관계의 지속성도 참을 수 없이 가볍다. 마음에 안 들면 왼쪽, 들면 오른쪽, 둘 다 오른쪽이면 대화가 가능한 이 이토록 단순한 원리는 관계에 임하는 자세까지 단순하게 만드는 것 같다. 잘 대화를 나누다가도 이유 없이 사라져버리거나(ghosting) 무언가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관계를 끊어버리기가 너무 쉬운 것이다. 소개팅으로 인연을 만나는 것과 같이 물리적으로 한자리에서 한 번에 한 명을 알아가면서 관계를 발전해 나가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으로 여러 사람과 실시간 대화를 나누면서 쉽게 쉽게 얼마든지 매치된 사람을 고를 수 있는 상황은 관계에 대한 희망과 열의마저 금세 사그라지게 한다. 거절도 쉽다. 구구절절 설명할 필요도 없고 언 매치 하기만 하면 다시는 상대방을 마주칠 일 없다. 오늘 기분 좋은 대화를 나눌지언정 내일 더 매력적인 상대가 나타나면 언제든지 교체 (당)할 수 있다는 사실은 온라인 데이팅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는 결국 그만큼 휘발성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누가 알랴, 내일 단 한 명의 인연이 나타날지. 다시 앱을 켠다. 




[2021, 4월]




Writer 


Yirang Lim  
    Came to the Netherlands for a Masters program and declared never to come back but here I am, finishing my PhD in Urban Development and Governance at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and preparing for the next chapter.


 임이랑
     네덜란드에는 석사로 처음 와서 다시는 돌아오지 않겠다 선언했지만 어쩌다 보니 박사과정까지 하게 되었고 지금은 에라스무스에서 도시개발 및 거버넌스 박사학위를 받고 유유자적 다음 챕터를 준비하고 있다.



NO. 3 


︎
Online Amen with Jesus


Shinyoung Kang

    "Fr. Anthony Jo started a live stream of "Sunday Mass - # Week of Easter."

    Every Sunday afternoon, a notification from my Korean Church Group shows up on my phone. 'Should I participate in this streaming mass or not?' It starts an uncontrollable inner battle within myself. Unfortunately, but sometimes rather proudly, I know what I ought to do as a religious believer, and it's out of my free will. But I couldn't help thinking that an online mass is not an actual mass. (I know, it's just an excuse. Sigh) Well, think about it, my good shepherd, isn't it wonderful and graceful that you can freely have a mass and continue with your religious ritual? Think about the past when you had to take an hour train to go to Church and the time when services were canceled due to the Corona situation last year. Are you going to ignore this value and chance that online offers?

    It all started from Covid-19 (let's suppose, for now). Ever since I can remember, this is my first time to witness this long pause of masses. By following the Dutch Corona measures, Churches can allow only 30 attendees, so services moved online for most. While this is happening, I had to struggle with my religious belief. I felt certain feelings and anxieties but wasn't sure from what. Are these about my faith? Or just natural feelings from the strangeness of the online mass I've newly experienced? If that's not the case, is it a struggle to find the intangible truth in physical space?… Many questions, too-much-deep questions, rose up to me. But, as a self-proclaimed interior architect, I chose to ask one question, "Can we successfully transfer offline ritual to online events?

    I believe that there is "a sacred spatial experience" from churches and other religious buildings like Buddhist temples and Mosques. It's difficult to describe in words, but there are such feelings in places of worship compared to other spaces such as Home or Gym. Maybe I believe in a religious experience served in physical, sacred places with contemplative silence and prayer's ritual. Moreover, personally, the Church gives me pleasant power and is the only place where I can be myself in the middle of the expat life in the Netherlands. But since the pandemic hit last year, all religious gatherings had to be canceled, and Church buildings inevitably became restricted.

    On 27 March 2020, I watched Pope Francis's live blessing at an empty St. Peter's Square via YouTube. Even though it was from a small screen, I vividly received the earnest and heartfelt prayer. I wasn't in Vatican City, but my laptop turned into a small altar and Church at that moment. However, that immersive experience started to fade away hopelessly despite my efforts, such as putting candles beside my laptop. My home, sweet home, started to dismiss my sacred religious ritual… I didn't quite feel guilty anymore to go to the toilet or answer my phone during the online mass (which I would never allow myself during the actual mass). It wasn't a poor wifi connection that made the access unstable between the online Church and my residential space, but it was about my poor attitude. Maybe the small screen was not helpful? So I decided to watch online services on a bigger screen. Thanks to screen sharing technology, I could make my home an immersive church atmosphere by enlarging the small screen into a 49" TV… But well, meh, it was a bit better, but it still did not change the atmosphere.

    I know that one's belief and faith should not be affected by physical space. But, I believe in the power and divinity from spatial experiences. (Maybe I am not religious enough…). Thankfully we could keep a religious gathering or worship via online and even make it not limited to physical condition. However, I believe that the sacredness of religion is yet to be transformed successfully online. (Okay, for sure, I am not religious enough…) Thanks to the intangible reality and 'online mass,' it became possible for me to appreciate and realise my thirst for a sacred space that I took for granted. It might be more valid to understand 'online' as "a great technological development which enables us to understand human nature and appreciate reality," instead of taking it as "the replacement or the whole new alternative world!".





[April, 2021]

︎
온라인 아멘과 주님



강신영

   ‘조 안토니오 신부님이 라이브 방송을 시작했습니다. “부활 제 #주간 미사 “.’

    매주 일요일 오후에 어김없이 울리는 네이버 한인 성당 밴드 알림. 카카오톡 때문에 봐버린 알림을 못 본척할까 볼까? 내적 갈등이 시작된다. 아쉽지만 자랑스럽게도 나는 참된 신자로서 내가 선택한 의무를 안다. 라이브 방송을 누르려는 순간, 나도 모르게 온라인 미사는 아무래도 미사 같지 않다는 핑계 아닌 핑계가 새어 나온다.  아니 착한 목자야, 생각해봐, 그래도 집에서 성당까지 기차를 타고 가야 했던 예전 상황보다는, 또 심지어 코로나 때문에 갑자기 미사가 없던 작년에 비해서는, 집에서 편하게 나의 신앙 활동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 감사하지 않은가? 이 무겁고도 가벼운 가치를 모른척할 셈인지?

    이 모든 시발점은 코로나 때문이다. (라고 우선, 하자) 전쟁 때나 문 닫았던 성당의 전례 없는 미사 취소가 현실이 되어버렸다. 네덜란드 현지 성당에서는 국가 방침에 따라, 오프라인 미사 참석은 30명 미만으로만 가능하게끔 예약제를 시행했고, 그 때문에 많은 신자들은 라이브 방송으로 미사를 대체해야 했다. 나 스스로는 신앙심에 대한 수많은 테스트를 거쳐야 했다. 온라인 미사로 인해 내가 겪는 경험과 감정들은, 과연 나의 신앙심에 관련한 담론일까 아니면 온/오프라인 미사에 대한 담론일까? 물리적인 공간에서 무형의 믿음을 향한 의지의 차이일까?... 내게는 벅찬 질문들이 맴돌지만, 자칭 공간 전공자는 화면 속 온라인 행사를 오프라인 의식으로 만들 수 있을까 하는 질문만 남겨본다.

    나는 성당뿐만 아니라 교회, 절, 이슬람 사원 포함하여 모든 종교 공간이 주는 힘을 믿는다. ‘신성한 공간 경험’이란 단어로 정확하게 묘사할 수는 없지만, 집이나 헬스장과는 확실히 다른 느낌이 존재한다. 나는 아마도 물리적인 종교 공간에서 겪는 고요한 시간과 정해진 의식을 따르는 ‘신성한 경험'을 믿는다고 할 수 있겠다. 더 나아가, 개인적으로 내게 성당은 힘든 타지 생활 중 유일하게 힘을 많이 주고, 내가 나일 수 있는 공간이었다. 하지만, 작년 팬데믹 이후 여러 사람이 모여 진행하는 종교 활동은 중단되어야 했고,성당이라는 공간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20년 3월 27일. 텅 빈 바티칸 베드로 성당 앞 광장에서 홀로 특별 미사를 집전하신 교황님을 유튜브로 처음 본 날은, 작은 화면을 통해서였지만 너무나도 생생하고 간절한 마음을 전달받았다. 바티칸에 있진 않았지만 내 노트북은 작은 제대였고, 성당이 되었다. 그러나 노트북 앞에 촛불을 켜고 미사드리는 등 열악한 환경에서나마 “신성한 종교 의식”을 행하려 노력했던 것이 무색 할 정도로 점점 집중력은 사라지고 집이라는 편안함에 무너져 가고 있는 듯 했다. 미사를 드리다가도 편히 화장실을 가거나, 오는 전화 막지 않고 받는다든지 등등… 인터넷 속도가 느린 것도 아닌데 계속 화면 속 성당과 집안을 왔다갔다 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나의 신앙적 연결상태가 불량해서인가보다. 화면이 작아서 그런가 싶어, 좀 더 큰 화면으로 보기로 했다. 무려 49인치 TV로 미러링이라는 최첨단 기술을 사용해 집을 성당으로 만들어보았다. 결과는 아 좀 낫네… 정도?

    사실 무형의 믿음이 중요하지, 장소며 물리적인 제약이 뭐가 중요하겠냐만. 나는 물리적 공간 경험이 주는 어떠한 힘을 믿고, 그것이 내게 주는 신성함을 믿는다. (아직 하수인가 보다) 온라인을 통해 감사하게도, 완전 부재가 될 뻔한 신앙모임이나 교리도 이어갔고, 물리적인 제약 없이 한층 편리한 화합을 가져왔다. 하지만 나에게는 아직, 온라인으로 종교의 신성함마저 구현하기는 힘든 듯하다. (역시, 아직 하수인가 보다.) 당연하게 여겼던 탓에 감사할 줄 몰랐던 종교 공간의 힘을 다시 갈증하게 하고, 빛나는 탐색을 도와준 무형의 세계 온라인. 하지만, 이는 “물리적인 세계를 대체하는 새로운 세계!” 라기보다는 언제까지나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고, 현실에 대한 감사함을 느끼게 한 고마운 기술의 발전!” 정도의 접근이 적당하지 않을까?




[2021, 4월]




Writer 

Shinyoung Kang
    Self-proclaimed spatial experience designer and religious believer. Born and raised in Korea, came to the Netherlands at a relatively late age. Enjoys discussing our somewhat frustrating and sympathetic lif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See other articles by this wirter...
Vol.01  I Article No.1  I Corona-munal Space


강신영    
    자칭 공간 경험 디자이너이자 신앙인. 오롯이 한국에서 먹고, 자라고, 치열한 사회도 겪고 다소 느즈막히 네덜란드로 건너왔다. 왠지 모를 답답함과 괜시리 공감가는 상황을 새롭고 다양한 관점에서 얘기 나누는 것이 좋다. 

이 작가의 다른 글...
Vol.01  I Article No.1  I 코로나-로운 공유 공간

NO. 4 


︎
The Incompleteness of Online Experience


Chaereen Kong

    A ding notification fills the air. A reminder that it's the time for the online concert I booked a few weeks ago. Excited and thrilled, I grab a cold beer and some snacks, take a seat on the sofa, open the link and fill the TV screen with it. The screen tells that the streaming will shortly start. A few minutes later, the performance I've been waiting for finally begins. It's pretty frustrating to like Korean artists while living abroad. You have to pay a high shipping fee twice the price of the album. To see the artist's concert, you just wait and wish for them to have massive success and have a world tour. In that sense, last year was ever the happiest year. Due to corona, many artists had online concerts instead of offline concerts. Some were free admissions, and even the paid ones were way cheaper than the actual offline concerts. Not to mention that there was no Pi-cketing* since the number of tickets was unlimited. I used to visit the concert at most three or four times a year. Over the past year, I have enjoyed more than 10 or more online performances. Though it has become very rich in quantity, the extent of the satisfaction is relatively low. I even hardly remember which performances that I watched.

    Such low satisfaction is perhaps based on the fact that going to a concert implies more than simply watching the performance. It starts on the way to the venue, followed by the joyful moment you enter the concert hall through the door after waiting in a long queue that brings you a bit of annoyance. The drifting noises from the crowds waiting for the artist to appear. The tension created by lots of pairs of eyes staring at the empty stage endlessly. The bursting cheering when the lights go out signalling that the artist will soon appear on the stage. The joy of sharing the experience with the artist in the same space and time. The mixed odour of crowds but strangely not unpleasant. Singing along, chanting, and endless encore request bringing the artist back on the stage over and over. The replay of the thrilling moments starts on the way home and continues for a while in your head. Going to a concert is more than simply listening to a song. It rather implies a series of meaningful experiences. Since the online concert provides only the part of these experiences, it's natural that it appears shallow and leaves less impression.

    Suffering from the pandemic, cultural sectors have chosen online a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offline events. Such a transition to online turned out to offer more possibilities than we imagined and is expected to continue for a while. Many artistic institutions had exhibitions online, various lectures and performances were provided online. Technics such as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have contributed to this transition and are developing faster than ever. However, the current technology seems insufficient to completely replace the offline experience with digital. Since digital communications rely mainly on visual and auditory, such experience is incomplete. It is an empty experience without other sensory information. Of course, you won't be allowed to touch or taste the art in most museums. However, even if you wear a VR goggle and look at the Nightwatch of Rembrandt, would you be able to have the same experience you could've had at Rijksmuseum? Would you feel overwhelmed as if in front of the actual painting and be able to catch the light smell of the oil painting in the air?

    It is often said that scent brings back memories, and this is actually a scientifically proven fact.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moves directly to the cerebrum. In contrast, olfactory information is transmitted via the amygdala, the part of our brain that is responsible for emotion and memory. Therefore, memories associated with emotions are more intense and stored longer when recorded together with olfactory information. That's why the memories and emotions flow back when you smell the same scent again. Not only the smell but also the tactile inform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sistence of memory. This is why the things you've read with hardcopy remain longer than the ones from e-books. When you read from the hardcopy, visual information - in this case, letters - are combined with tactile information - weight and size of the book and feeling on your hand when turning pages. Since it's a combination of two sensory information, our brain regards that as more valuable and decides to store it for a longer time. In other words, our memory becomes more valuable when various sensory information is combined. Therefore, cultural content's online experience is inevitably less impressive than the actual experience due to the lack of other senses.

    The online concert has ended, and the cold phrase "The streaming has ended" greets me from the screen. As much as I've been immersed in the show, I don't want to face the reality that I'm not in the actual concert hall but sitting in my room. I want to stay in this mood, so I try to find other clips from YouTube. But the sound indicating that the washing machine has completed the cycle removes the last lingering feelings away. As I turn my back from the screen, the memory of the online concert vanishes into thin air. I'll keep wandering around other online venues trying to fill my thirst that will never be filled.

[April, 2021]


Pi-cketing* is a Korean slang widely used in fan culture, meaning blood(피[pi])-splashing ticket sale, that there is huge competition to reserve the ticket. 



︎
불완전한 경험에 대하여



공채린

    휴대폰 알림이 울린다. 몇 주 전 예매해 놓았던 온라인 콘서트가 곧 시작한다는 알림이었다. 신나고 들뜬 마음으로 시원한 맥주와 스낵거리를 준비하고 소파에 앉아 링크를 열어 티비 화면에 채운다. 스트리밍이 곧 시작된다는 화면이 뜨고 몇 분 후, 기다렸던 공연이 시작된다. 해외에 살면서 한국 아티스트를 좋아한다는 건 가끔 참 서러울 때가 있다. 앨범 한 장을 사기 위해 어마어마한 배송료를 감수해야 하고 공연을 보기 위해선 아티스트가 대성공하여 해외 투어를 돌기를 하염없이 기다리는 수밖에. 그런 면에서 보면 지난 한 해는 참으로 행복한 한 해였다. 코로나로 인해 오프라인 공연이 불가능해지자 많은 아티스트들이 공연을 온라인으로 전환했기 때문이었다. 무료 공연도 많았고 유료 공연도 실제 오프라인 공연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즐길 수 있었다. 무엇보다 인원이 한정되어 있지 않아 피켓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무척 행복했었다. 이전에는 1년에 많아야 서너 번 공연을 보러 갔었는데, 지난 1년 새 온라인으로 즐긴 공연이 열 손가락을 넘는다. 양적으론 참 풍부해졌는데, 솔직히 말하면 만족도는 현저히 낮다. 심지어 내가 무얼 보았는지 기억조차 희미하다.

    이 낮은 만족도는 공연을 본다는 것이 단순히 그 공연이 제공하는 콘텐츠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기인한 것이 아닐까. 공연을 보러 가기 위해 공연장으로 향하는 그 길, 공연장 앞에 늘어선 줄에서 느꼈던 약간의 짜증과 기다림 끝에 공연장 문을 들어설 때의 그 기쁨. 공연 시작 전 아티스트를 기다리는 관객들의 웅성거림, 모두가 텅 빈 무대를 한없이 응시하며 느꼈던 긴장감. 그리고 무대의 불이 꺼지고 아티스트가 등장하기 직전의 그 환호성. 아티스트와 한 공간에서 이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는 희열과 여러 사람의 땀내가 뒤범벅된 묘하게 불쾌하지 않은 공기. 떼창, 연호, 그리고 무대 뒤로 사라진 아티스트를 재소환하는 끝없는 앙코르 요청. 공연이 끝난 후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서부터 시작되어 그로부터 한동안 머릿속에서 끝없이 재생되는 짜릿했던 그 순간의 기억. 나에게 있어 공연을 보러 간다는 것은 단순히 노래를 듣는 것이 아니라, 이렇듯 전체적인 경험에 의미가 있기에, 이 모든 것이 생략된 온라인 공연은 그저 껍데기뿐인, 영양가 없는 경험으로 다가오는 게 당연하다.

    지난 한 해 많은 문화산업이 팬데믹의 해결책으로 택한 온라인으로의 전환은 수많은 가능성을 보여줬고 이러한 흐름은 앞으로도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많은 미술관이 오프라인 전시 대신 온라인 전시를 진행하고 있고, 각종 강연과 공연 등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VR(Virtual reality)과 AR(Augmented reality)은 이러한 흐름에 더욱 박차를 가했고 관련 기술은 어느 때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이다. 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오프라인에서의 경험을 온전히 디지털로 대체하기에 역부족으로 보인다. 단순히 시각과 청각에만 의존하는 경험이란 다른 감각들의 결여로 인해 반쪽뿐인, 불완전한 경험이기 때문이다. 물론 미술관에 간다고 해서 그 작품을 손으로 만지거나 맛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VR 고글을 쓰고 렘브란트의 야경을 감상한다고 해서 실제 왕립미술관에서 볼 때 느꼈던 희미한 유화의 냄새와 왠지 모르게 압도되는 그 느낌을 완전히 경험할 수 있을까?

    흔히들 향기는 추억을 부른다고들 하는데 이는 과학적으로도 증명된 사실이다. 시각과 청각을 통한 감각 정보는 바로 대뇌로 이동하는 반면 후각 정보는 뇌에서 감정과 기억을 담당하는 편도체로 바로 전달이 된다. 그렇기에 감정과 연계된 기억은 후각 정보와 함께 기록될 때 더 강렬하고 오래 보관되며 후에 다시 그 향을 맡았을 때 예전의 기억과 감정이 다시 떠오르게 되는 것이다. 후각뿐만 아니라 촉각 정보 또한 기억의 지속력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전자책보다 종이책이 더 기억에 오래 남는 것이 이 경우에 속한다. 우리의 뇌는 글자를 보고 얻게 되는 시각 정보뿐 아니라 책의 무게감이나 크기, 종이를 넘길 때 손에서 느껴지는 촉감 등의 정보와 결합 되었을 때 더 가치 있는 정보라 판단하여 더 오래 보관한다고 한다. 이처럼 우리의 뇌는 다양한 감각 정보가 결합 된 기억일수록 그 가치를 높게 여긴다. 그렇기에 시각과 청각, 두 가지 감각만으로 이루어진 온라인에서의 문화 콘텐츠의 경험은 다른 감각의 결여로 인해 실제 오프라인에서의 경험보다 감동이 적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공연이 끝나고 “해당 스트리밍은 종료되었습니다.”라는 차가운 문구가 나를 반긴다. 잠시나마 영상에 빠져있던 나는 이곳이 실제 공연장이 아니라 방구석이라는 현실을 마주하고 싶지 않다. 조금 더 여운을 즐기고 싶어 애써 다른 공연 실황을 찾아보지만, 세탁기가 다 돌았음을 알리는 전자음이 그나마 남아있던 여운마저 와장창 깨트린다. 화면을 뒤로하고 돌아서는 그 순간, 온라인 공연의 기억은 연기처럼 사라져버린다. 그리고 나는 또다시 채워지지 않는 목마름을 애써 채우려 다른 온라인 콘텐츠를 찾아 헤맨다.




[2021, 4월]



*피가 튀는 전쟁터 같은 티켓팅이란 뜻으로 예매 시 많은 사람이 몰려 치열한 경쟁을 치룬다는 덕질계 은어이다.





Writer 

Chaereen Kong    
    A Dobby who’s longing for the life of Hanryang*. A kid who had too many things she liked to do and to become, has ended up as an ambiguous person. With her hyper-optimism, she believes she can still become anything since she’s not definite yet. Once a tech-uni student who majored in Architecture, then became an art-school student following her affection in art, and now working at a marketing agency in Amsterdam. What would she become next?
*Hanryang: a voluntarily unemployed person, who enjoys the beauty of our lives.

See other articles by this writer... Vol.01  I Article No.3  I If you’re reading this, you’re standing too close

공채린 
  한량의 삶을 그리는 도비. 좋아하는 것도, 되고 싶은 것도 참 많았던 아이는 이것 저것 하다보니 이도 저도 아닌 애매한 사람이 되었다. 하지만 특유의 무한 긍정으로 오히려 그렇기에 무엇이든 될 수 있다며 여전히 철 없는 꿈을 꾼다. 건축을 전공한 공대생에서, 예술이 좋아 미대생이 되었다가 지금은 암스테르담의 마케팅 에이전시에서 일하는 그녀의 다음 아이덴티티는 무엇일까?


이 작가의 다른 글...
Vol.01 I Article No.3  I 이불 밖은 위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