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Edge of Companionship
Alim Kim
Whomever you decide to get along with — whether it's a friend or your significant other, the criteria for picking your closest one and the drive that makes you go for it or not would differ from person to person. From wealth to academic background, personality, family background, or even a similar sense of humor, everyone has their own eye for whom they want to keep around themselves. Needless to say, big data—a large volume of cumulative lifelong data—get involved in forming a companionship unknowingly. When you were little, you might have hung out with a group of random friends. However, as you get older, you filter out your friends by your specific standards, and you find yourself with fewer friends who have stood by you. In that manner, only a handful of friends have proven to be the right match for you.
I value cultural experiences more than anything when it comes to making friends. As a person interested in art and culture, when meeting someone new, I have felt that I was emotionally fit with people who have a similar level of understanding (of culture) as I do. As a result, I could form a long-term and closed connection with them. It might be too big a word to use "cultural capital," but simply to say, I've come to realize that I have so much fun with people who are aware that fostering cultural experiences is essential and that sharing their taste and insights with others is the beginning to savor culture. And—with those who made this practice habitual. Listening to a rare music album that is little known does not indicate that you enjoy the high-end culture. Likewise, listening to the Billboard Hot 100 Chart does not mean that you have a poor level of understanding culture. It doesn’t have to be about an experimental art film that seems profound and difficult to understand — I am fond of getting to know somebody who can discuss beyond what it really is about a popular movie. Beyond merely expressing your likes and dislikes, those who can have a deep conversation about other topics related to the main theme are my ideal type of friends. By doing so, we can share our thoughts to broaden our perspective and create new values beyond just consuming culture.
On the other hand, it's not that I can't understand those who don't prefer such conversations. They might not feel the necessity to sit down and discuss culture. Or they may feel like doing that practice useless as they haven't experienced what is beyond the extent of simply consuming culture. I don't dare to evaluate how high or low your level of cultural experiences is, nor am I entitled to. But it’s my personal standard that makes it hard to get along with people who dismiss cultural experiences from the beginning, saying that such things are not relevant to their life as if they draw the line on where they don't need to explore. For example, some might say that it's worth visiting the cathedrals, art galleries, or museums when you visit the city for the first time, even if you don't work in the culture sector or study those fields in the academic environment. On the contrary, others might say that they don't want to look around museums or art exhibitions at all, saying that it’s not their concern. When the latter comes across the former—people waiting in long queues to see the Pantheon under the scorchingly hot weather of Rome—the latter will probably think the former is stupid. Those who oppose it would never understand those who aspire to see the Pantheon and its value while enduring the sun. But hey, why don’t you try it just for once, even if you think that’s stupid and useless, and stop putting your heads in the sand?
Some insist that doing such things [e.g., traveling to another culture that you have never been to and feeling the discomfort as a way to growth, sharing your thoughts with others in the form of writing or after appreciating music or movies, debating over one issue with different perspectives] have no effective value and do not make any earning (Nah, some people do make a living with these, though). But it allows you to improve the intrinsic value of human beings. It could become an intangible asset that provides a variety of perspectives so that you can enrich your life a little more and see it from a wider perspective. Not only that, it helps to explore the matter of human existence. Cultivating this attitude ultimately enables you to come out of yourself. Just give it a try. If you don't ever try it, you would never know if it's good or bad or if it requires hard work to get it, etc. In that sense, experience goods can be found and enjoyed as much as one knows, so not only the satisfaction of the experience increas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information but also the degree to which additional thinking and discussion can be involved (Radbourne et al., 20091)). I think this not only helps you break prejudices within yourself, but it leads to developing an eye to appreciate things that you haven't experienced before. Therefore, cultural capital can be defined as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to decipher it with a sophisticated sense of understanding (Roose & Stichele, 20102)).
In that sense, it is related to what Burdieu (1986) referred to as “habitus,3)” the fact that I have my own standards and boundary to let people into my club, for someone keen to build up rich cultural capital. Thus, being attracted to similar people connotes that cultural experiences align with a sense of value. Only when the attitude toward life is on the same line as mine could we have a common denominator that makes us closer. On the other hand, it may sound a little uncomfortable to categorize people by cultural capital and use that as the standard for making friends. Moreover, it even sounds frustrating if this standard is utilized to filter out people to keep only a few in the exclusive inner circle, form a tight connection and build up a network, which in the end converts cultural capital into the actual social capital. Indeed, this rather leads to a practical and concrete result. It sounds somewhat bitter that the boundary of attraction or willingness to have a relationship or a boundary between likes and dislikes becomes visible and expressed as capitalization. But for some reason, it doesn’t sound so different from the common phrase such as "I like someone who can communicate with me well." Please don’t tell me it’s only me.
1) Radbourne, J., Johanson, K., Glow, H., & White, T. (2009). The audience experience: Measuring quality in the performing art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16-29.
2) Roose, H. & Stichele, A. (2010). Living room Vs. concert hall: Patterns of music consumption in Flanders. Social Forces, 89, 185-207
3) Habitus /ˈhæbɪtəs/*: According to Bourdieu (1986), habitus refers to the tastes, habits, and aura that distinguish oneself from others in sociology. The outcome and product of expressing class and social status. A second nature that is determined by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what habits, skills, dispositions, preferences, behaviors that individuals own to perceive the world around them depends on the habitus. As you grow up, everything you have experienced has shaped you to be the person you are today and your attitude.
[May, 2021]
︎
사귐의 경계
김아림
친구든, 연인이든, 사람을 사귀는 기준은 저마다 다를 것이다. 누구는 돈을 본다거나, 학력을 본다거나, 집안 배경을 본다거나, 인간 됨됨이를 본다거나, 아니면 개그 코드를 본다거나,... 제각기 사람을 보는 기준 하나쯤은 다들 있기 마련이다. 굳이 날을 세워 사람을 가려 사귀려 들지 않아도 내 옆에 둘 사람을 고르는 건 알게 모르게 자신이 살아온 인생의 빅데이터가 관여하는 것 같다. 우리도 어릴 적을 생각해보면 초등학교 땐 이런저런 친구들과 다 같이 섞여서 놀다가, 나이가 들면 들수록 하나둘씩 필터링이 생기면서 진짜 나와 맞는 소수의 친구들만 남게 되는 경험을 해본 적 있지 않은가?
나는 사람을 볼 때 문화적 경험을 중요하게 여긴다. 문화예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으로서, 누군가를 만날 때도 나와 이해정도가 비슷한 집단과 정서적으로 잘 맞는다는 것을 느꼈고, 결과적으로 그들과 장기적이고 긴밀한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있다. 문화자본(cultural capital)이라고 말하기엔 다소 거창해 보이지만, 쉽게 말하면 문화적 경험의 중요성을 알고, 자신의 취향과 삶의 이야기를 나누는 것 자체가 문화의 시작임을 아는 사람과의 만남이 즐거워졌다. 문화적 경험을 함양하는 데 게을리하지 않고 개인이 일상에서 느끼는 것들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 그리고 그것이 습관화되어있고 실천하는 태도까지. 꼭 남들이 잘 모를법한 밴드의 음반을 듣는다고 수준 높고 대-단한 고급문화를 즐기는 것도 아니고, 빌보드 핫 100을 듣는다고 문화 수준이 형편없는 것도 아니다. 나의 경우를 예를 들자면 — 굳이 심오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예술영화가 아니더라도 — 대중영화를 보더라도 단순히 재미있다, 없다, 별로다, 돈 아깝다 정도의 감상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가끔은 토론을 한다거나 거기서 파생된 다른 주제에 관한 이야기, 서로의 시각을 넓히는 대화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좋다. 문화를 소비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사람.
한편으로는 그런 대화를 선호하지 않는 사람들이 이해가 안 가는 것은 아니다. 문화 자체를 딱히 가치가 없다고 느낄 수도 있고, 단순히 소비만 하고 그것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경험을 해보지 않아서 필요나 효용이 없다고 느낄 수도 있다는 생각은 한다. 내가 상대방을 판단할 자격도 없거니와 상대방이 가진 문화생활 수준의 높고 낮음을 감히 재단하려는 것은 더더욱 아니지만—애초부터 문화적 경험을 아예 등한시하는 사람, 그니까 그런 분야는 내 분야가 아니니 평생 겪어보지 않아도 될 영역이라고 치부해 버리며 무슨 결계라도 친 것처럼 죽어도 ‘거긴’ 가기 싫다고 해버리는 사람과는 도저히 친해지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예컨대 여행지에 가면 그 도시에 있는 성당, 미술관, 박물관은 꼭 들린다는 사람도 있고, 반대로 박물관이나 미술 전시회는 쳐다도 안 본다는 사람도 있다. 후자가 로마의 뜨거운 땡볕 아래 끝없이 긴 줄을 서면서까지 판테온을 구경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을 본다면, 아마 미련하다고 혀를 끌끌 찰 것이다. 그렇게 내리쬐는 햇볕을 견디면서까지 판테온을 보고자 하는 사람들의 열망과 그 안이 가진 가치가 얼마나 엄청난지 미처 모르는 사람일 게다. 그런데, 그저 눈감고 귀 닫지 말고, 쓸모없는 일처럼 느껴질지라도 한 번쯤 그런 실속 없고 무가치해 보이는 일에도 시간을 써보는 건 어떨까?
누군가에겐 효용 가치가 전혀 없어 보이는 일 — 가령 생전 가본 적 없는 다른 문화권으로 훌쩍 여행을 떠나 굳이 모르고 살아도 될 불편함을 몸소 겪어본다든지, 자기 생각을 글의 형태로 남과 공유해본다든지, 음악이나 영화에 대한 감상을 나누고, 한 가지 이슈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토론을 한다든지 하는 일은 우리에게 돈을 벌어다 주진 못하지만 (아니 누군가는 이게 업이기도 하다), 인간 내면의 고유가치를 향상하고, 내가 세상을 살아갈 때 삶을 조금 더 풍성하게 살 수 있도록, 더 넓은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는 무형의 자산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인간존재의 문제를 탐구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이런 태도를 기르는 것은 궁극적으로 자기 틀을 깨는 것이기도 하다. 수고스럽더라도 해보는 것. 해보지 않으면 그게 나에게 별론지, 아니면 생각보다 괜찮았는지, 그게 귀한지, 품이 많이 드는지 등등은 알 수가 없으니 말이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경험재(experience goods)는 아는 만큼 보이고 즐길 수 있으므로 정보의 양에 따라 경험의 만족도가 높아질 뿐 아니라, 추가적인 사고와 논의를 이어갈 수 있는 정도도 달라진다 (Radbourne et al., 20091)). 이것은 자기 안의 편견을 깨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자기가 접해보지 않은 것의 진가를 알아보고 감상하는(appreciate) 눈을 개발하는 것과도 연결된다. 그러므로 문화자본은 감식안을 가지고 그것을 해독할 수 있는 정보처리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Roose & Stichele, 2010).
이렇게 본다면, 내가 문화자본을 구축하는 사람과 코드가 맞다고 느낀다는 사실, 그리고 나에게 이것이 상대를 구별 짓는 내 주관적인 경계이자 중요한 가치판단 기준이라는 사실은 부르디외(1986)가 말한 “아비투스(habitus)3)”가 비슷한 사람에게 끌린다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니 내가 사람을 볼 때 중요한 잣대로 작용하는 문화적 경험은 결국 가치관과 같은 맥락이다. 인생을 살아가는 태도가 나와 같은 선상에 있는 사람이어야 비로소 가까워질 공통분모가 생기게 된다. 한편으로는 문화자본의 여부로 사람을 카테고라이징하며 이것이 사람을 사귀는 기준이 된 것, 그리고 그 안에서 — 즉, 사람들과 소셜라이징할 때 결국엔 가치관이 맞는 사람들끼리 모이게 되고, 그 인맥으로만 이루어지는 배타적인 모임 안에서 부수적으로 얻게 되는 인적 네트워크와 이를 통해 문화적 소양이 사회적 연결고리로 작용하여 인적, 사회적 자본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다소 불편하게 들리기도 한다. 오히려 이것이야말로 실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결과를 낳는 것이니까. 끌림과 사귐, 좋고 싫음의 경계가 가시화되고, 본격적으로 자본화되는 것이 씁쓸하게 들리기도 하지만, 왠지 이게 “전 대화가 잘 통하는 사람이 좋아요”와 같은 흔한 구절과 별반 다르게 들리지 않는 건... 나뿐만은 아니겠지?
[2021, 5월]
2) Roose, H. & Stichele, A. (2010). Living room Vs. concert hall: Patterns of music consumption in Flanders. Social Forces, 89, 185-207
3) 아비투스(habitus)*: 부르디외(1986)에 따르면 아비투스는 타인과 나를 구별짓는 취향, 습관, 아우라를 말한다. 계층 및 사회적 지위의 결과이자 표현이며, 사회문화적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제 2의 본성. 즉, 우리가 어떤 가치관, 선호, 취향, 행동 방식, 습관으로 세상을 맞이하느냐는 아비투스(habitus)에 달려 있다. 우리가 태어나 자라면서 경험했던 모든 것이 지금의 태도를 빚어낸다.
Writer
Alim Kim
Alim has studied film in South Korea and research-based interior architecture in the Netherlands. With an insatiable desire for documentation, her interests lie in discovering insights taken from her mundane trajectory. This is because (a) she is familiar with them and likes the dynamics between human beings, and (b) she hates them and feels sick of the tension they hold. Also known as a total detail freak.
See other articles by this wirter...
Vol.01 I Article No.5 I Will a Loner's Wishes Finally Come True?
Vol.02 I Article No.5 I How Does Clubhouse Lure in Your Exhausted Soul
Alim has studied film in South Korea and research-based interior architecture in the Netherlands. With an insatiable desire for documentation, her interests lie in discovering insights taken from her mundane trajectory. This is because (a) she is familiar with them and likes the dynamics between human beings, and (b) she hates them and feels sick of the tension they hold. Also known as a total detail freak.
See other articles by this wirter...
Vol.01 I Article No.5 I Will a Loner's Wishes Finally Come True?
Vol.02 I Article No.5 I How Does Clubhouse Lure in Your Exhausted Soul
김아림
한국에서 영상을 전공하고 네덜란드에서 리서치 기반 실내건축을 공부했다. 그는 일상의 궤적에서 소소한 통찰을 발견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세상의 다양한 인간 군상과 그들 사이에 얽힌 이해관계에 현기증이 나면서도 아이러니하게도 시선을 거둘 수 없는 이유는 그 기저에 대상에 대한 애정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애증을 향한 끝없는 기록욕記錄慾을 느끼며 aka 햇-마:당의 디테일 프릭으로서 쓸데없는 것에 집착하는 삶을 살고 있다.
이 작가의 다른 글...
Vol.01 I Article No.5 I 아싸[아웃사이더]의 상상은 정말 현실이 될까?
한국에서 영상을 전공하고 네덜란드에서 리서치 기반 실내건축을 공부했다. 그는 일상의 궤적에서 소소한 통찰을 발견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세상의 다양한 인간 군상과 그들 사이에 얽힌 이해관계에 현기증이 나면서도 아이러니하게도 시선을 거둘 수 없는 이유는 그 기저에 대상에 대한 애정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애증을 향한 끝없는 기록욕記錄慾을 느끼며 aka 햇-마:당의 디테일 프릭으로서 쓸데없는 것에 집착하는 삶을 살고 있다.
이 작가의 다른 글...
Vol.01 I Article No.5 I 아싸[아웃사이더]의 상상은 정말 현실이 될까?
Read more
Other articles in Vol.03
No 1. The other land (2021) by Kelly Jang
No.2 Don't be an amateur! I 아마추어같이 왜 그래?
No.3 Would you rather marry? I 결혼 밸런스 게임
No.4 Kill them all and let God do the judgment I 모조리 죽여라 심판은 하느님께 맡기고
No.6 My precious child I 금쪽같은 내 새끼
No 1. The other land (2021) by Kelly Jang
No.2 Don't be an amateur! I 아마추어같이 왜 그래?
No.3 Would you rather marry? I 결혼 밸런스 게임
No.4 Kill them all and let God do the judgment I 모조리 죽여라 심판은 하느님께 맡기고
No.6 My precious child I 금쪽같은 내 새끼
Other Editions :
Vol.01_YEAR : AC 1
Vol.02_Life_ver.01.jpeg
Vol.01_YEAR : AC 1
Vol.02_Life_ver.01.jp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