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us      I       Editions       I      Interview  
︎ Prev       Index︎       Next ︎

NO. 3


︎
Would you rather marry?


Shinyoung Kang


    Although it is my fifth year in the Netherlands, living the expat-life is not always easy. I feel that I am a little bit-too-late bloomer even though people say that everyone has their own pace. Observing my Korean friends' weddings, promotions, and stock investments, I felt hurried to settle in this land like my close friends did in my homeland. I moved here to broaden my perspectives, but not to get stuck, or to feel that I am excluded from my friend's life. While I was looking back on my belated life and working through my sorrow, the term 'Marriage' suddenly appeared in my life. There isn’t any unplanned pregnancy, but simply because my father, who has never taken a day off of work, is getting a first-ever long-term holiday. It is quite a huge deal and might be the first and last chance for my parents to be here in the Netherlands. So my partner and I decided to take advantage of this. We planned to invite our parents and receive the sacrament of matrimony at a Church in the Netherlands, where we first met and started our four-year relationship.

    Currently, we are staying together under a legally guaranteed unmarried couple partnership in the Netherlands. Two years ago, my visa was about to expire after my master's program, but my boyfriend was in the middle of his study. We decided to stay together by applying for my partnership visa. So he became officially my partner and was registered as my sponsor. The Dutch partnership system was new and interesting to me, who was only familiar with the two legal statuses; married or unmarried. There was no minimum dating period required for the partnership applications. I needed to write down our brief love story and the address of where we live or are about to live together. And I was free to attach our travel plane tickets and photos of us as evidence of our serious relationship.

    Also, in New Zealand, there are a married couple and a Civil Union partnership who share their entire property. In addition, there is a De facto partnership, which is usually applied for a couple who is living together and shares only some part of their property. This system seems to result from acknowledging various relationships and protecting the various forms of unions of individuals legally. In Korea, there is also a common-law marriage relationship that has a legal effect. But it is not a relationship that can be officially registered as a partnership. Instead, it is decided in a conventional way on how people recognize your relationship. For example, you must prove that you call each other husband and wife in public. People around you also must think of you as a married couple to have a legal effect. In today's diverse society, I am skeptical that it is a desirable system that we have in Korea to define individuals' union with one single standard, married or unmarried.

    Beyond acknowledging the various forms of relationship, I always imagined myself as a wife in the future. No matter how old I was/am, my scenario always ended up being the mother of a family. Perhaps that is why I always considered dating as a build-up step for marriage. And I tried to define our relationship within that scope. Even at the beginning of our relationship, I once argued that no matter how much we love, we must break up now if our relationship doesn't consider marriage. It's nonsense, but I approached our romantic relationship in such a cruel way. It was especially so much easier to explain to the adults in Korea that we will be married soon or are serious enough to be married. Maybe I pretended to be very open to others’ relationships. Still, it turns out that I had a somewhat retro standard to myself with thinking that a couple must end up in marriage.

    By the way, We, who are in between partnership and marriage, have a stable enough connection and are satisfied with our current lifestyle. But why, why are we trying to face the boundary of marriage now?.. Wedding is not a sealing magic that never breaks up. Moreover, we are not feeling any uncertainty nor ambiguity between us. But the one thing we know for sure is our religious mission as Catholic believers - taking a matrimony oath in front of the lord of the church and forming a holy family. (Of course, technically, our current cohabitation cannot be recognized under Catholic law. But this issue should take another whole article to write down) We decided to take our religious obligations as part of our relationship. Unlike the previous weddings I attended so far, it will be very simple with just the essentials. I am pleased to have a religious marriage in the Netherlands in the coming months with my parents there. I don't know for sure when exactly it will be, but we promised each other to have a celebration with close friends and families in Korea too.

    Perhaps only after facing the boundary of this marriage are we looking for our answers to the meaning of this marriage and why we are trying to have a wedding. I even had to have whole confusions, anxiety, regret, and some fears too, and it's still on-going. Still, there is excitement and joy that comes along. Somehow we feel that our relationship is becoming richer and more complete. Being in the middle of marriage makes us look back on our relationship beyond that label itself. It is not necessary to define our relationship within marriage. However, the course of defining gave me the belief that we will be evermore sturdy when faced with any boundaries. It is just the beginning of our happy journey to find our balance of marriage.



[May, 2021]


︎
결혼 밸런스 게임




강신영

 
    네덜란드로 온 뒤 이방인으로의 삶이 평탄하지만은 않았다. 아무리 사람마다 시계가 다르다지만 같이 대학을 졸업했던 친구들이 이미 사회에 자리 잡고 승진에 결혼에 주식 재테크까지 빠르게 으어른이 되어가는 걸 보니, 이 머나먼 타국에서의 정착이 더 늦어지는 것 같아 조급한 마음이 들었다. 시야를 넓히러 온 것이지, 어느 중간에 멈춰있는 느낌을 받고 싶다거나 친구들과 비슷한 인생사에 배제되고 싶어 날아온 것은 아닌데 말이다. 이렇고 저런 푸념과 인생 고찰을 겪을 때쯤 내게 ‘결혼’이라는 단어가 훌쩍 다가왔다. 안전(?)하게도 새 생명과는 상관이 없고, 평생 일을 한 번도 쉬어본 적 없는 아버지가 난생처음 긴 휴가를 보내게 되셨는데, 네덜란드에 양가 부모님을 모실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가 된 것이다. 그렇게 나와 어느덧 4년째 지지고 볶고 있는 파트너는 우리가 만난 생활의 터전인 네덜란드에서 혼인 성사를 드리기로 했다.


    현재, 우리는 네덜란드에서 법적으로 보장된 미혼 커플 파트너십 (unmarried couple partnership) 제도 안에서 지내고 있다. 2년 전 나는, 학교 졸업 후 비자가 곧 만료되는 시점이었고, 남자친구는 학생 비자가 남아있던 상황에 생이별은 있을 수 없다며 기꺼이 서로 파트너가 되었다. 그를 나의 부양자로 등록하고, 그에게 존속한 채 내 파트너십 비자를 받을 수 있었다. 혼인 여부라는 이분법적인 경계에만 익숙했던 나에게 미혼인 우리를 법적인 관계로 인정해주는 네덜란드의 파트너십 제도가 굉장히 흥미로웠다. 신청조건에 정해진 연애 기간은 따로 없고, 둘이 거주하는 주소지를 쓰고 같이 여행 간 비행기표와 사진 등을 첨부하여 우리가 이 관계를 얼마나 진지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자유롭고 다양한 방법으로 우리의 간략한 연애 스토리를 적어내면 된다.


    네덜란드 외에도, 뉴질랜드에서는 재산의 전부를 공유하는 관계로 결혼과 시빌 파트너십(시빌 유니언)이 있고, 이 외에 De fecto라는 파트너십이 하나 더 있는데, 이는 부모님으로부터 독립 후 동거를 하며 재산의 일부를 공유하는 커플들이 주로 맺는다. 이는 개인과 개인의 다양한 결합과 존속 형태를 인정하고, 법적으로 보호하려는 노력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에도 파트너십과 비슷하게 법적 효력을 갖는 ‘사실혼’이 있는데, 이는 서류상의 등록은 불가능하고, 사회적 관습 및 통념에 따라 관계가 결정된다. 가령, 주변인들 앞에서 서로 남편과 아내로 호칭하고, 모두에게 부부로 인식된다는 것을 증명해야 부양 의무를 인정해준다. 다양성을 가진 오늘날 사회에 아직도 우리나라에서 결혼과 부부라는 단일 기준으로만 사람의 존속 관계를 정의하고 보장해주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제도일지는 모르겠다.
   

    개인과 개인의 다양한 결합의 형태를 인정하는 것과는 별개로 나는 매번 나의 10년 뒤 모습을 상상할 때면, 결혼하여 단란한 가정을 꾸리고 있는 한 사람의 아내이자 엄마였다. 그래서인지 항상 연애를 결혼을 위한 빌드업 단계로 간주했고, 그 범위 안에서 우리의 관계를 정의했었다. 우리가 결혼까지 갈 수 없는 사이라면, 아무리 사랑해도 지금 당장 헤어져야 한다는 궤변을 법한 소리를 주장하기도 했다. 심지어 알콩달콩한 연애 초반에 우리 사이를 차갑게 식혀 생각했다. 특히, 한국에 계신 어르신께 소개할 때는 ‘곧 결혼할 사이’ 혹은 ‘결혼을 전제로 만나는 사이'처럼, 지금의 동거를 결혼과 연결 지어 설명해야 마음이 편했다. 어쩌면 나는 남들의 다양한 관계에는 굉장히 쿨한 척 했지만, 정작 나 자신한테 연인은 반드시 결혼으로 귀결해야 한다는 다소 쿨하지 못한 잣대를 갖고 있던 듯하다.


    파트너십과 결혼 그 사이 어디쯤 존재하는 우리는 지금도 충분히 두터운 사이이며 깨나 만족스러운 생활을 하고 있다. 그런데, 왜 인제 와서 그 경계를 넘어 결혼을 마주하려 하는 걸까… 마치 결혼이 절대 헤어지지 않는 봉인술도 아니고, 현재 우리 사이에 애매모호함 혹은 불확실함을 느끼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다만 한가지, 우리는 둘 다 천주교 신자로서 주님 앞에 우리의 관계를 선서하며, 교회 안에서 합법적인 결혼을 인정받고, 성가정을 이루기 위해 혼인성사를 드려야 하는 의무를 알고 있다. (물론, 엄밀히 말하면, 교회법상 우리의 동거는 인정받을 수 없다. 이는 앞서 말한 제도상의 결혼, 파트너십과는 또 다른 단상을 펼쳐야 한다) 우리는 종교적인 의무에 좀 더 집중하기로 했고, 내가 여태껏 참석했던 결혼식과는 달리 간소한 형태로 진행할 예정이다. 종교적 의미의 결혼을 올해 네덜란드에서 기쁜 마음으로 드리고, 한국에는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그러나 빠른 시일 내에 어떤 형태로든 친구와 가족들을 불러모아 특별한 자리를 갖기로 했다.


    우리는 어쩌면 결혼이라는 경계를 마주하고 나서야, 결혼의 본질적인 의미는 무엇인지, 왜 이 결혼을 하려고 하는지에 대한 우리만의 해답을 찾고 있다. 혼란과 걱정, 아쉬움과 두려움이 가득한 대화를 해야 했고, 지금도 물론 진행 중이다. 하지만 이 모든 과정에 설렘과 기쁨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우리 사이가 더욱더 다채롭게 완성되고 있음을 느꼈다. 우리는 지금 결혼이라는 또 다른 경계를 마주하고, 그 경계 자체를 넘어 우리 관계를 되돌아보고 있다. 꼭 결혼을 기준으로 우리를 정의할 필요는 없다. 다만 모르고 마주할 그 어떠한 경계 속에서도 우리가 좀 더 단단해질 것이란 믿음이 생겼을 뿐이다. 결혼에 대한 우리만의 밸런스를 찾으며, 행복한 물음표를 던져본다.




[2021, 5월]



Writer 

Shinyoung Kang
    Self-proclaimed spatial experience designer and religious believer. Born and raised in Korea, came to the Netherlands at a relatively late age. Enjoys discussing our somewhat frustrating and sympathetic lif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See other articles by this wirter...
Vol.01  I Article No.1  I Corona-munal Space
Vol.02 I Article No.3 I Online Amen with Jesus

강신영    
    자칭 공간 경험 디자이너이자 신앙인. 오롯이 한국에서 먹고, 자라고, 치열한 사회도 겪고 다소 느즈막히 네덜란드로 건너왔다. 왠지 모를 답답함과 괜시리 공감가는 상황을 새롭고 다양한 관점에서 얘기 나누는 것이 좋다.

이 작가의 다른 글...
Vol.01  I Article No.1 I 코로나-로운 공유 공간